
총 19개
-
치위생 구강생리학2024.11.251. 구강생리학 1.1. 치아와 치주조직의 생리 치아는 단순한 기능적 역할 뿐만 아니라 구강의 생리학적 구조와 깊은 관련이 있다. 치아와 치주조직은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구강 내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먼저, 치아의 주성분인 무기질을 살펴보면, 법랑질은 95~97%의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아질은 61~71%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 법랑질과 상아질의 주요 무기질 성분은 칼슘과 인이다. 이들 칼슘과 인은 주로 hydroxyapatite(HA) 결정의 형태로 존재한다. 한편, 치아의 유기질 성분은 단...2024.11.25
-
지역사회간호학 구강관리 노인 보건교육2024.10.091. 100세 건강을 위한 구강건강증진교육 1.1. 보건교육의 필요성 고령사회는 노인의 경제적 문제, 건강문제, 심리적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향상은 중요한 목표로 다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문제 및 구강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더욱 증가하였다. 구강 건강은 삶의 질 향상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기초로 구강건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89.2%가 평균 2.7개의 만성질환을 ...2024.10.09
-
구강해부학2024.08.221. 서론 1.1. 구강 해부학 및 구조 구강은 입을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소화기계의 시작 부분이다. 구강은 크게 치아, 혀, 침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자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구강 내 치아는 총 28개로, 위턱과 아래턱에 각각 14개씩 배치되어 있다. 치아는 음식물을 씹는 기계적 소화 작용을 담당한다. 특히 제3대구치인 사랑니는 부분적으로 맹출되어 있어 치은조직과 교통하며 음식물이 축적되기 쉬워 감염의 위험이 높다. 혀는 구강저를 형성하며 미뢰를 포함한 유두들이 있어 미각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2024.08.22
-
구강생리학 정리2024.12.031. 구강생리학의 개요 1.1. 치아의 생리 1.1.1. 치아의 화학적 성질 치아는 무기질과 유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법랑질과 상아질의 무기질 함량은 각각 96%, 65%이며, 주요 성분은 칼슘과 인이다. 이들은 주로 hydroxyapatite(HA, Ca10(PO4)6(OH)2) 결정으로 존재한다. 상아질의 유기질은 주로 Collagen이며, 법랑질의 주요 유기질은 amelogenin과 enamelin이다. 치아의 대사는 치아 맹출 후 서서히 진행되는데, 이는 뼈와는 달리 치아가 일생동안 개조되지 않기 때문이다. 1.1.2...2024.12.03
-
치과2024.08.311. 치과 질환 1.1. 치아 구조 치아는 많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치은, 치수, 치주막, 치근, 치근관, 치조골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다. 법랑질은 치아의 겉부분을 덮고 있는 가장 단단한 부분이다. 닳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치아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상아질은 법랑질 아래에 있는 부분으로 치수를 감싸고 있다. 상아질은 법랑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하지만 치아의 구조와 강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백악질은 치근 부분을 덮고 있는 얇은 막으로, 치아와 잇몸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2024.08.31
-
2025 간호조무사2025.01.111. 2025 간호조무사 1.1. 구강생리학 치아는 구강 내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태생 후 7~8주부터 유치(젖니)가 형성되기 시작하여 2세반(30개월)이 되면 유치 20개가 완성된다. 유치와 영구치는 이후 교환되는데, 유치에서 영구치로 교환되는 시기는 대체로 6~7세 경이다. 영구치 중 가장 마지막에 나오는 치아는 지치(제3대구치, 사랑니)이다. 치아는 크게 치관과 치근으로 구분되는데, 치관은 구강 내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며 전치는 음식물을 자르는 기능을, 구치는 음식을 으깨는 기능을 담당한다. 치근은 치...2025.01.11
-
충치 화학2024.10.051. 충치의 화학적 기전 1.1. 치아의 구조와 성분 치아의 구조와 성분은 다음과 같다. 치아는 법랑질, 상아질, 치수, 치근, 치경부, 치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법랑질은 치아의 겉부분으로 단단한 경조직이며, 치아의 97%를 차지하고 있다. 법랑질은 주로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Ca10(PO4)6(OH)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외에도 소량의 유기물과 물이 함유되어 있다. 상아질은 법랑질 아래층에 위치하며, 법랑질보다는 단단하지만 법랑질에 비해 부드러운 경조직이다. 상아질은 주로 유기질인 교원질 섬유와 ...2024.10.05
-
카데바 느낀점2024.10.231. 의학의 역사 1.1. 의학의 역사 요약 저자는 '영웅과 악인' 게임을 통해 의학사 속의 인물들을 평가하는 것은 '어떻게 보는가'에 달려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를 대입하여 책 읽기를 권유하고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인체 해부가 금지되었지만, 서기 129년에 갈레노스가 동물 시체 해부를 통해 인체 구조를 측정하여 정교한 이론을 만들었다.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은 해부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베살리우스는 1542년 '파브리카'라는 책을 출간하였다. 이 책 발간 이후에도 여전히 인간 유해에 대한 혐오가 있었고, 해부를 하는 의사들...2024.10.23
-
치과재료학2024.10.241. 치과재료학의 정의와 치과위생사의 역할 1.1. 치과재료학의 정의 치과재료학의 정의는 치과위생사에게 반드시 필요한 학문이다. 치과진료실에서 치과위생사는 치과의사와는 다른 역할을 하지만, 치과재료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하고 숙지하고 있어야 내원하는 환자에게 보다 잘 설명하고 이해시킬 수 있다. 또한 치과위생사는 환자진료에 어느정도 직접 관여하며 이때 거의 대부분 치과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치과재료학을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한다. 비록 환자진료 내용이 아말감이나 복합레진의 연마 정도의 과정이라고 하더라도 이 과정은 이들 재료의...2024.10.24
-
치과기공2024.10.071. 치기공과의 입문 1.1. 치기공과 선택 동기 치기공과를 선택한 동기는 주변에서 "돈을 많이 벌 수 있다", "굶어 죽지는 않겠다"는 전문직에 대한 인식 때문이었다"". 저 스스로도 손재주와 미술에 대한 관심이 있었기에 치기공과에 입학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론과 실무의 차이로 인해 대학생활을 하는 동안 전공에 대한 적성 고민을 많이 했다"". 치아에 대한 생소한 용어와 실기 과제로 인한 신체적 고통 등 힘든 과정을 거쳐야 했기 때문이다"". 1.2. 대학생활과 전공 적성 고민 저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10년도 치기공과에...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