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대학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용어의 정의
2. 문헌고찰
2.1. 간호조직문화
2.2. 임상수행능력
2.3. 회복탄력성
3. 연구 방법
3.1. 연구 설계
3.2. 연구 대상
3.3. 윤리적 고려
3.4. 연구 도구
3.5. 자료수집 방법
3.6. 자료분석 방법
4. 연구 추진 계획 및 일정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의료서비스의 발달과 개인의 생활수준 및 교육수준이 향상되며 고품질 의료서비스와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경쟁력 있는 임상간호사가 필요하다. 이에 임상간호사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과 더불어 환자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수준 높은 간호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간호사의 업무량과 부담감 증가는 이직 사유가 되고 있으며, 병원간호사회의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2020)'에 따르면 간호사의 이직률은 15.2%로 보고되었다. 높은 이직률에 따른 간호 인력을 보충하기 위해 신규간호사 채용은 계속 늘어나고 있으나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은 44.5%로 경력간호사에 비해 더 높은 실정이다. 신규간호사는 간호업무의 특성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감을 받으며,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 부족으로 인해 실수를 하게 된다. 그로 인해 자존감이 저하되고 자신감이 없어지며 업무에 적응하지 못하여 이직을 고려하게 된다. 신규간호사에게 크고 작은 다양한 역경과 시련은 간호사로서 성장 과정으로 이러한 실패나 어려운 순간에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은 간호사로서 적응하는데 필요하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를 중심으로 간호조직문화가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임상수행능력에 긍정적인 간호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신규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임상수행능력 및 회복탄력성을 확인한다.
2) 신규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조직문화를 파악한다.
3) 간호조직문화와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및 회복탄력성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4) 간호조직문화가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1.3. 용어의 정의
1)신규간호사 신규간호사는 간호사 면허 소지자로 당해 대학을 졸업하고. 병원에서 근무한지 12개월 미만의 실무경력을 가진 정규직 간호사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2022년 대학을 졸업한 대상자로 병원에서 정규직원으로 채용된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조직문화 간호조직문화는 간호조직 구성원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양식, 규범 및 기대로서 간호조직 안에 있는 간호사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와, 신념, 행동방식을 의미한다."
3)임상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사가 속해있는 근무지와 관계없이 간호사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4)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은 각종 스트레스나 힘든 역경을 성숙한 경험으로 극복하고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와 성장, 발전하게 하는 힘을 의미한다."
2. 문헌고찰
2.1. 간호조직문화
간호조직문화란 간호조직 내에서 간호사들 간의 상호작용과 업무수행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통하여 만들어져 공유하고 있는 신념, 사고, 행동방식이며, 조직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문제해결을 용이하게하고, 질적인 간호서비스, 직원과 환자의 만족 및 간호 생산성 향상과 조직목표 달성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조직문화는 새로운 구성원들에게 일반적인 문화처럼 학습되고 공유되는 가치관과 관련이 있으며, 개인마다 개성이 있고 조직마다 조직 고유의 문화를 갖고 있다. 모든 조직은 다른 조직문화와 공통점과 함께 상이성을 가지며 끊임없이 변화한다.
간호조직문화 연구에서 창의력과 동료간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며,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일 줄 아는 특성을 보이는 발전적 문화가 우세할수록 조직 몰입이 높게 나타났다고 분석하였고, 직무만족도는 업무,혁신지향 문화와 강한 균형문화가 강한 위계문화와 강한 관계문화보다 높게 인식되었으며,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유형은 혁신지향문화와 관계지향문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문화적 특성을 근거로 해당 업무에 가장 적합한 간호사를 선발하고 배치하는 것은 조직의 발전과 개인의 직무만족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2. 임상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은 다양한 임상상황에서 적합한 지식, 판단, 기술 등을 통합하여 간호업무를 효율적으로 수...
참고 자료
강소영, 엄영란, & 한성숙(2005). 전문간호실무를 위한 조직환경과 간호사의 근무의욕간의 관계.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2), 353-361.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0115468
권혜경, 김신향, & 박시현(2017). 한국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임상간호연구, 23(1), 100-109.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3097944
김대란(1999).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와 조직몰입간의 관계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5(1), 5-21.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libmeta.knou.ac.kr:8010/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41084
김수진, & 박혜자(2019). 신규간호사가 지각한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가 회복탄력성과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1025-1044.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6036255
김은경, 정면숙, 김종경, & 유선주(2020). 신규간호사의 재직의도 영향 요인: 간호조직문화, 임파워링 리더십, 조직사회화를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26(1), 31-41.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6557093
김주환(2011). 회복탄력성. 서울: 위즈덤하우스.
박소연, 권윤희, & 박영숙(2015).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조직사회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24-332.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0320278
박은혜, & 전샛별(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253-275.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77060107
박인숙(2018). 신규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및 직무소진.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18(5), 373-374.
박진아(2008).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T11456949
변영순, 임난영, 강규숙, 성명숙, 원종순, 고일선, et al.(2003). 신규 임상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임상실무수행능력. 기본간호학회지, 10(1), 47-56.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82574880
병원간호사회. (2021, February 9).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Retrieved December 3, 2021 from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bo_table=board1&wr_id=8086
손정은, & 김상희(2019). 신규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이 현장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5(2), 151-160.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6339821
신연화, 이해정, & 임연정(2010).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예측요인. 간호행정학회지, 16(1), 37-47.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82363384
신은숙, 안민정, 최명이, 이애경, 전은아, 정영미, et al.(2017).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회복탄력성과 간호조직문화를 중심으로. 임상간호연구, 23(3), 302-311.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4799735
이명하(1998). 병원의 조직문화유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4(2), 363-385.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libmeta.knou.ac.kr:8010/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41077
이미영, 임숙빈, 변은경, & 정은자(2018). 간호조직문화가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4(2), 137-146.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5549819
이영옥, & 강지연(2018). 국내 병원간호사 이직의도 관련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성인간호학회지, 30(1), 1-17.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5158897
이점덕, & 이정숙(2006). 프리셉터쉽 적용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12(3), 434-443.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76516723
이정현, & 신현기(2013). 특수교사 회복탄력성 측정 척도 타당화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8(1), 1-17.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libmeta.knou.ac.kr:8010/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89401
한미라(2019). 시뮬레이션 기반 성인간호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사역할 이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6), 329-339.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6343477
한민아, & 도미향(2018). 신규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증진 코칭프로그램 개발. 코칭연구, 11(4), 165-182.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bmeta.knou.ac.kr:8010/link?id=A105972598
한성숙, 권성복, 김문실, 김용순, 문희자, 한성희, 이선미외 공저(2006). 간호관리학II 수문사.
한수정(2002). 병원 간호조직문화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8(3), 441-456.
Berkow, S., Virkstis, K., Stewart, J., & Conway, L.(2008). Assessing new graduate nurse performance. JONA: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11), 468-474.
Dyer, J. G., & McGuinness, T. M.(1996).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0(5), 276-282.
Fleeger, M. E.(1993). Assessing organizational culture: A planning strategy. Nursing Management, 24(2), 39.
Snow, J. L.(2002). Enhancing work climate to improve performance and retain valued employees. JONA: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2(7/8), 393-397
간호이론가와 이론Ⅱ6판, 박영숙외
간호이론의 이해, 이소우 외
이용자 관점에서 본 아이돌보미지원 사업의 특성과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이승미 외, 2011)
아이돌보미 시범사업평가 및 정책방향( 변미희 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