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아 관찰 기록
1.1. 신체운동*건강
유아기 아동의 신체운동 발달은 대근육과 소근육 발달, 균형 잡힌 자세 유지, 도구 사용 능력 등을 포함한다. 관찰 기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유아들이 각자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자신의 신체를 능숙하게 조절하며 다양한 신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감자를 먹는 과정에서 9월 4일에 관찰된 유아는 감자 껍질의 촉감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옷에 묻은 감자를 닦는 등 감각 발달이 활발함을 보여주었다. 이후에도 음률 영역에서 노래를 부르며 두발로 점프하는 등 신체 조절력이 발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세반 유아들의 경우 실외 놀이 시간에 줄다리기, 공 던지기 등 대근육을 활용한 신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특히 균형을 잡으며 하키채로 블록을 밀어 골인시키는 활동에서는 자세 조절 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일부 유아의 경우 신체 활동 시 안전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한 유아는 신체 활동 중 안전하게 멈추지 않고 부딪히는 등 조심성이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지속적인 지도와 관찰을 통해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종합해 볼 때, 유아기 아동의 신체운동 발달은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개인차가 있으며, 안전한 신체 활동을 위한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교사는 유아 개개인의 발달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발달에 적합한 활동을 제공하며 지속적인 관찰과 피드백을 통해 유아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1.2. 의사소통
유아의 의사소통 발달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관찰 내용에 따르면 유아들은 다양한 상황에서 언어를 활용하며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켜 나가고 있다.
9월 9일 관찰에서 유아 O원은 소리를 지르며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으나, 교사가 언어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하자 올바른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는 유아가 점차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9월 10일에는 상황에 맞게 자신의 요구사항을 교사에게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처럼 유아는 점차 자신의 생각과 요구를 명확히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고 있다.
한편 다른 유아들의 경우 언어 표현에 어려움을 보이기도 한다. 9월 9일 관찰에서 유아 O석은 자신의 생각을 교사에게 말로 표현하지 못하고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해 교사는 언어적 표현을 격려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도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켜 나간다. 9월 10일 관찰에서 유아 O우는 친구의 행동을 이해하고 언어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9월 16일 관찰에서는 친구에게 감사의 말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처럼 유아기는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크게 발달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관찰 내용을 통해 유아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언어를 활용하며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켜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유아의 언어 표현을 격려하고 지원하여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발달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1.3. 사회관계
유아의 사회관계 발달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9월 1일부터 관찰된 유아들의 사회관계 발달 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OO는 자신의 문제 상황에 대해 친구가 도움을 주자 '고마워'라고 표현할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자신의 감정을 언어적으로 표현할 줄 아는 모습이다. 또한 "OO가 도와주자 O혁이가 '고마워'라고 이야기하였다"고 관찰되었는데, 이는 또래의 도움을 요청하고 감사를 표현하는 긍정적인 상호작용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한편 "OO가 미술영역에서 '백조를 어떻게 해" 라고 이야기하자 "내가 도와줄게" 라고 이야기하고 백조 깃털을 뜯어 붙여주었다"는 관찰 내용을 통해, 또래의 문제 상황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스스로 해결책을 모색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유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