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조언어학의 개념과 기능을 설명하고, 대조언어학과 인접 학문(3개 이상)의 관계에 대해 비교하여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조언어학의 개념과 기능
2.1. 대조언어학의 정의
2.2. 대조언어학의 기능
3. 대조언어학과 인접 학문의 관계
3.1. 대조언어학과 비교언어학
3.2. 대조언어학과 구조언어학
3.3. 대조언어학과 언어유형론
4. 대조언어학의 필요성
4.1. 외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4.2. 번역 및 통역에서의 활용
4.3. 언어 연구에서의 활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학습자의 모어는 외국어를 학습할 때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학습자들을 모어에 따라 겪는 어려움이 다른데, 예를 들어 영어 모어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를 배울 때 한국어의 존대법과 조사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반면에, 한국어와 비슷한 어순을 가진 일본어 모어 학습자의 경우는 영어 모어 학습자가 어렵게 여기는 한국어 특징을 상대적으로 쉽게 익히기도 한다. 이런 이유에서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언어들 간의 특징을 자세히 살피고 체계적인 대조가 필요하다. 또한 외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의 경우 학습자들의 모어와 학습 대상 언어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이해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면 언어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연구를 하는 학문이 대조 언어학이라고 볼 수 있다.
2. 대조언어학의 개념과 기능
2.1. 대조언어학의 정의
대조언어학은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비교 분석하는 학문으로,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조언어학은 서로 다른 언어 간의 구조, 형식, 의미 등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2.2. 대조언어학의 기능
대조언어학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대조언어학은 외국어 교육 등 실용적인 목적에서 출발한 언어학으로, 학습자의 모어가 외국어를 학습할 때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언어들 간의 면밀하고 체계적인 대조가 필요하다"". 또한 외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의 경우 학습자들의 모어와 학습 대상 언어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이해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면 언어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역가와 번역가에게는 출발어와 도착어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우며, 가장 적절한 통번역이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대조언어학은 외국어 교육을 위한 실용적인 목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교사에게는 외국어 교육 또는 제2언어 교육을 하는 데 도움을 준다"".
3. 대조언어학과 인접 학문의 관계
3.1. 대조언어학과 비교언어학
대조언어학과 비교언어학은 언어 간의 관계를 연구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연구 목적과 접근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비교언어학은 계통이 같은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검토하고 사적 변천을 밝혀 근원이 된 언어와 분화된 제언어의 사적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한 언어의 초기...
참고 자료
대조언어학 수업교재.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대조언어학의 정의와 역사. https://blog.naver.com/quanquan686/60171028827
한국어에 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와 한국어교육. 송재목. 오사카경제법과대학교
대조언어학 교재 참고.
김기석, 「대조언어학과 언어유형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대회, 2016.
허용, 「한국어교육을 위한 대조언어학의 회고와 전망」, 『언어와 문화』 15-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9.
김선정, 「플랫폼 시대의 한국어 교육과 대조언어학」, 『언어과학연구 97, 언어과학회,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