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발도르프 프로그램
1.1.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개념
발도르프 프로그램은 신체, 인간, 영혼의 통합체를 인간으로 보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을 토대로 발전된 것으로, 기질에 따른 교육, 예술을 통한 교육, 자연적 교육환경에 그 특성을 가지며 전인교육을 추구한다. 인간을 정신적, 육체적, 영혼적 존재로 보고 있으며, 머리, 마음, 손의 교육을 통해 전인교육을 추구하는 발도르프 교육은 사랑, 경이로움, 감사, 책임감 등의 교육을 강조하고 놀이를 중시한다.
1.2.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역사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1919년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로, 유럽은 정치·경제·문화·사회 전반적으로 혼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산업화·현대화의 가속화로 덩달아 규격화된 주입식 교육 제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인지학자이자 교육혁명가였던 루돌프 슈타이너는 전국적으로 수많은 강연을 다니며 그의 사상을 전파했다. 슈타이너의 강연에 감동한 슈트트가르트의 사업가 에밀 몰트는 그를 초청하여 자신이 경영하는 '발도르프-아스토리아' 담배 공장의 노동자들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학교를 열기를 요청하였다. 이에 1919년 최초의 발도르프 학교가 슈트트가르트에 생기게 되었고, 에밀 몰트가 운영한 공장이 '발도르프 아스토리아 담배공장'이었기 때문에 발도르프 학교라고 이름을 지었다. 이렇게 시작한 발도르프 학교는 오늘날 전 세계에 1000여 곳의 학교와 약 1500개의 유치원, 1200여 개의 병원과 양로원 등의 시설이 있게 되었다.
1.3.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반
1.3.1.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은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반이 된다. 슈타이너는 인간을 정신(초감각), 영혼(주관), 육체(물질계)의 통합체로 인식하였다. 그는 인간의 일생을 통해 네 가지 구성체인 육체, 아테르체, 아스트랄체, 자아의 탄생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육체는 물리적 신체로, 자연법칙에 연결되어 있다. 아테르체는 생명력이 작용하는 생명체로, 물질적 신체가 성장하고 지속되게 하는 힘이다. 아스트랄체는 감정과 욕망, 충동 등을 전달하는 감정체이다. 자아는 인간 안에 있는 동물을 능가하는 독립성과 자기의식을 의미한다.
또한 슈타이너는 인간의 기질을 다혈질, 담즙질, 점액질, 우울질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다혈질은 활동적이고 경솔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