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날씨라는 어휘 제시와 어휘 연습방법이 어떻게 다른지 예를 들어 수업지도안 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점
2.1. 학습 대상
2.2. 목적과 기능
2.3. 제작 의도와 목표
2.4. 구현 매체
2.5. 기타 사항
3. 정부 주도: 디지털 국어교과서와 세종한국어
4. 민간 대학 주도: 고려대 재미있는 한국어 시리즈
5. 한국어 교재의 현황과 과제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교재, 교사, 학습자는 언어교육의 3대 요소다. 이 중 교재는 학습자와 교사를 연결하는 매개체로,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지식과 기능을 최대한 습득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준비한 모든 자료·자료를 말하며, 학습자료와 보조자료를 포함한다. 교재는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기능을 하며, 학습 과정 조절 및 안내 기능이 있다. 최근에는 교재의 내용 제시 기능보다는 교수 및 학습 과정의 조절 및 안내 기능이 강조되고 있어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동기를 통해 자기 학습을 돕는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교과서는 정부 주도로 교육과정에 따라 잘 선정되고 조직화된 '문서자료'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 보고서에서는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점과 특성을 고민하고 그 실례를 찾아냈다.
2.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의 차이점
2.1. 학습 대상
국어 교과서는 국어가 모국어인 대부분의 공교육을 받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이주자, 유학생, 한국 취업 준비생,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 즉, 국어 교과서의 경우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한국어 교재는 주로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2.2. 목적과 기능
국어 교과서의 목적과 기능은 우리말의 언어사용능력, 사회소통능력, 국어문화의 계승·발전 등을 목적으로 한다." 반면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학습을 통해 사용능력과 숙련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분야, 대상, 수준, 제시 형태 등 목적과 대상에 따라 세분화 및 전문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국어교육 문법의 목적이 이미 익힌 국어의 규칙과 체계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라면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은 기술된 규칙과 체계를 바탕으로 한국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또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는 학습수요에 따른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정하고 이를 근거로 상향하여 문법과 어휘를 재료로 언어별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2.3. 제작 의도와 목표
국어 교과서는 국어가 모국어인 대부분의 국민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의 언어사용능력과 문화 계승 발전을 목적으로 하지만,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국어 교과서는 정부...
참고 자료
首爾大學 韓國語 1A (서울대 한국어 1A),2013
이화 한국어 1-1, 2010
함께 하는 한국어2, 2009
임화정(2009)「과제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 지도 방안 초급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교육문화연구교육문화연구 제15권 제1호, pp.65 – 90
www.topik.go.kr › usr › cmm › subLocation토픽 어휘 목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강의 교안(2000), 배론원격평생교육원박광원(2004), 초등 국어 교과서의 기능 수행성에 대한 조사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이은애(2012), 한국어 학습용 웹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설계 및 구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국립 국어원 “세종한국어 3” 2019
고려대 출판부 “고려대 재미있는 한국어 1” 2019
https://mid.mteacher.co.kr: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hgusdl12&logNo=220306293077
http://www.impet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