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술과 교수·학습 과정
1.1. 서예 중심 학습
1.1.1. 서예 중심 학습의 이론적 기초
옛 조상들은 서예를 '마음의 거울'이라고 하였고, '마음이 바르면 글씨도 바르다'라고 까지 말한 것만 보아도 실로 심영(心影)의 예술이라 아니할 수 없다. 오랜 세월에 걸쳐 응결된 민족적 미의식이 자연적으로 반영되어 균형, 변화와 통일 등의 조형미가 선으로 집약된 예술이다. 이와 같은 민족 고유의 예술인 서예 중심학습을 통하여 서구화되기 쉬운 어린이들에게 주체의식을 심어주고, 건전한 심성을 도야하는 계기가 되며, 나아가서는 한글 서예 발전의 터전이 되게 하는 학습을 말한다.
1.1.2. 서예 중심 학습 모형과 단계
서예 중심 학습 모형은 목표제시 → 구상 → 표현 → 감상의 4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목표제시 단계는 학생 개개인이 학습목표를 인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학습 목표를 명확히 제시하여 학생들이 무엇을 학습해야 하는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구상단계는 학습자들이 학습방법을 발견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책의 글씨 양식을 보고 기법을 이해하며, 어떤 방식으로 학습할지 구상하는 활동이 이루어진다.
셋째, 표현단계는 필쓰기와 묘서하기로 나뉜다. 필쓰기는 반복적으로 한 글자를 쓰면서 운필력을 기르는 단계이고, 묘서하기는 실제로 작품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넷째, 감상단계는 학생 개개인의 작품을 비교 평가하는 단계이다. 작품을 서로 비교하며 평가하고, 예습과제도 함께 제시한다.
이처럼 서예 중심 학습 모형은 학습목표 인지, 학습방법 발견, 실습 및 작품 제작, 작품 감상의 단계를 거침으로써 체계적이고 균형 잡힌 수업을 가능하게 한다.
1.1.3.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
서예 중심 학습의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제시 단계에서는 학생 개개인이 학습목표를 인지하는 단계이다. 교사는 학습목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학생들이 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서예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을 통해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낸다.
둘째, 구상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서예 학습 방법을 발견하는 단계이다. 교사는 교과서의 내용과 관련된 작품들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서예의 기법과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서예의 기본 필법과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표현단계는 임서하기와 정서하기로 나뉘는데, 임서하기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붓글씨를 쓰는 활동을 하고, 정서하기에서는 임서한 글씨를 정성스럽게 꾸미는 활동을 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충분한 연습을 통해 점획의 길이, 방향, 굵기 등을 익힐 수 있도록 지도한다.
넷째, 감상단계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작품을 비교 평가하는 단계이다. 교사는 학생들이 서로의 작품을 비교하며 장단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예습과제를 통해 다음 차시 수업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서예 중심 학습은 단계별로 체계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거치며, 학생들의 서예 실력 향상과 미적 감각 개발을 목표로 한다.
1.2. 미적 체험 중심 학습
1.2.1. 미적 체험 중심 학습의 이론적 기초
자연과 관련된 생활 속에서 자연미와 조형미를 발견하고, 나아가 자연미와 조형미와의 관계, 자연, 조형, 생활과의 관계 등을 생각하여 밝고, 아름다운 환경, 보다 윤택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위한 미적 가치를 인식시키는 학습을 말하며, 개인 및 사회 생활과 미술, 민족문화, 세계문화와 관련된 미술로서 그 범위를 넓혀 가야 한다"이다.
미적 체험 중심 학습에서는 일반적으로 문제파악 → 문제추구 → 적용·발전의 3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문제파악 단계는 아동 경험 중심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알고 자연과 조화를 이 루고 있는 조형물들의 아름다움을 인지하는 단계이다. 둘째, 문제추구 단계에서는 자연의 모습에서 관찰할 감상 관점을 알고, 색깔과 행태의 모습을 재확인하고 자연과 조형물의 어울림을 살펴 생활 환경과 관련된 자연미를 발견하게 한다. 셋째, 적용·발전 단계에서는 자연과 조형물을 아끼고, 보호하는 마음을 갖고 구체적 실천 방법을 깨닫게 한다.
1.2.2. 미적 체험 중심 학습 모형과 단계
미적 체험 중심 학습 모형과 단계는 다음과 같다.
미적 체험 중심 학습이란 자연과 관련된 생활 속에서 자연미와 조형미를 발견하고, 자연미와 조형미와의 관계, 자연과 조형물, 생활과의 관계 등을 생각하여 밝고 아름다운 환경, 보다 윤택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위한 미적 가치를 인식시키는 학습을 말한다. 개인 및 사회 생활과 미술, 민족문화, 세계문화와 관련된 미술을 포함한다.
미적 체험 중심 학습 모형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파악 및 준비 단계는 아동 경험 중심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알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조형물들의 아름다움을 인지하는 단계이다.
둘째, 문제추구 단계에서는 자연의 모습에서 관찰할 감상 관점을 알고, 색깔과 행태의 모습을 재확인하고 자연과 조형물의 어울림을 살펴 생활 환경과 관련된 자연미를 발견하게 한다.
셋째, 적용·발전 단계에서는 자연과 조형물을 아끼고, 보호하는 마음을 갖고 구체적 실천 방법을 깨닫게 한다.
이와 같이 미적 체험 중심 학습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조형물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자연미와 조형미의 관계를 이해하며, 자연과 환경을 보호하는 마음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1.2.3.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
미적 체험 중심 학습의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문제파악 (준비) 단계에서는 아동 경험 중심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알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조형물들의 아름다움을 인지하는 단계이다. 교사는 아동들이 직접 경험한 자연 풍경의 아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