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응급실 위장관출혈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위장관출혈의 정의
2.2. 상부위장관출혈의 원인
2.3. 병태생리
2.4. 증상 및 징후
2.5. 진단검사
3. 응급실 사례 분석
3.1. 개인력
3.2. 진단 및 검사
3.3. 치료과정
3.4. 응급간호
4. 간호과정
4.1. 사정
4.2. 간호진단
4.3. 간호중재
4.4. 평가
5. 결론
5.1. 경과
5.2. 실습소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위장관출혈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상황이며, 신속하고 효과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위장관출혈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및 징후, 진단검사 등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고, 응급실에 내원한 실제 위장관출혈 환자 사례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간호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위장관출혈 환자의 신속한 회복과 예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문헌고찰
2.1. 위장관출혈의 정의
위장관출혈이란 식도와 위, 소장, 대장 등의 점막이 손상되어 혈관이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출혈이다. 상부 위장관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고, 하부 위장관출혈은 소장과 대장에서 발생한다. 위장관출혈의 원인은 소화성 궤양, 식도정맥류, 스트레스성 궤양, 미란성 위염 등 다양하며, 출혈의 심각성은 출혈의 근원이 정맥, 모세혈관, 또는 동맥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토혈, 흑색변, 잠혈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내시경검사, 혈관조영술, L-tube irrigation, 직장수지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2.2. 상부위장관출혈의 원인
소화성 궤양은 상부위장관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전체의 약 50%를 차지한다. 십이지장 궤양은 전체 궤양 환자의 약 29%를 차지하며, 대부분 24-48시간 이내에 10%의 환자에서 재출혈이 발생한다. 위궤양은 전체 환자의 16% 정도를 차지하고 재출혈 가능성이 더 높다. 구부 궤양은 전체 상부위장관출혈의 5% 미만으로 흔치 않은 원인이지만, 소화성 궤양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1/3에서 발생한다.
미란성 위염, 식도염, 십이지장염과 같은 급성 위점막 병변들도 상부위장관출혈의 약 15% 정도를 차지하며, 알코올, 아스피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식도 및 위 정맥류 출혈은 간경변증으로 인한 문맥압 상승으로 발생하며, 전체 상부위장관출혈의 약 6% 정도를 차지한다. 식도 정맥류 출혈은 재출혈의 위험이 높고 사망률도 높은 편이다.
Mallory-Weiss 증후군은 식도와 위문부(75%)의 연결 부위에 1-4cm의 종단 열창이 발생하여 점막하 동맥이 파열되어 출혈이 일어나는 경우로, 전형적인 병력은 반복적인 구토 후 발생한 선홍색의 토혈이다. 전체 상부위장관출혈의 3% 정도를 차지한다.
그 외에도 스트레스성 궤양, 동정맥 기형, 악성종양 등이 상부위장관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이빈인후부의 출혈이 위장관출혈로 오인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소화성 궤양은 감소하고 식도 정맥류 출혈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2.3. 병태생리
출혈의 심각성 정도는 출혈의 근원이 정맥, 모세혈관, 또는 동맥인지에 달려 있다. 출혈의 유형에는 토혈, 흑색변, 잠혈이 있다. 토혈은 선명하고 밝은 붉은색 또는 '커피색'의 구토물로 나타나는데, 선명하고 붉은색의 경우에는 위액과 섞이지 않았음을, 커피색인 경우엔 위액과 섞임을 의미한다. 흑색변은 혈액이 위장관에서 소화되어 검은색의 타르와 같은 대변으로 나타나며, 이는 상부 위장관 어느 곳에서 서서히 출혈이 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잠혈은 위 분비물 안에 소량의 혈액이 존재하는 것으로, 겉으로 보기에는 구토물이나 대변에 피가 보이지 않는다. 출혈의 정도와 속도에 따라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토혈, 호흡 곤란, 실신, 쇼크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4. 증상 및 징후
위장관 출혈은 출혈의 정도와 그 속도에 따라 신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인 증상으로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토혈, 호흡 곤란, 실신, 쇼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혈변이 관찰된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변이 검고 짜장면 색과 같은 대변을 보인다. 하부 위장관 출혈은 주로 변기에 피가 보이는 혈변이 나타난다.
토혈(hematemesis)은 ...
참고 자료
위장관 출혈,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61
장출혈,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25923&cid=51007&categoryId=5100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유양숙(2022),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이은희,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26-308
재혀니,“기흉응급실처치방법”,"상부위장관출혈“,2024년3월20일.
https://blog.naver.com/leo0726/223094663986
딘두,“기낭절제술”,2024년3월20일.
https://blog.naver.com/pro-selfdeveloper/222687950804
CCOCCA,“흉관배액술”,2024년3월20일.
https://blog.naver.com/rudghkdmlqkd/222853048786
서울아산병원,“의약품정보”,2024년3월20일.
약학정보원,“의약품정보”,2024년3월20일.
곽수진,「프셉마음 응급실편」,드림널스,2023년,P.162~173
김진희 외,「응급간호 및 재난간호」,고문사,2021년,P.223~225
황옥남,「성인간호학 상권」,현문사,2019년,P.500~623.
김지희,「프셉마음 혈액검사 해석」,드림널스,2022년,P.104~107.
송경애 외,최신 기본간호학1,수문사,2016,P.158~160
송경애 외,최신 기본간호학1,수문사,2016,P.29~36
송경애 외,최신 기본간호학1,수문사,2016,P.285~300
성인간호학 김금순 저 | 수문사 | 2016.02.26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