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Uterine atony2024.11.221. 자궁근무력증 1.1. 정의 자궁근무력증은 "태반이 분리될 때, 자궁의 근 섬유가 혈관 주위에서 단단하게 수축하지 못하도록 하는 근육 긴장의 결핍"을 말한다. 자궁근무력증에서는 이완된 근육으로 인해 회음부에 있는 자궁내막 동맥으로부터 빠르게 출혈이 일어나게 된다. 자궁의 근육 섬유가 혈액의 흐름을 중단시키기 위해 수축할 때까지 출혈은 계속된다. 1.2. 원인 및 위험 요인 자궁근무력증의 원인 및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자궁의 과다 팽대로 인한 자궁근 피로는 자궁근무력증의 주요 원인이다. 다태임신, 거대아, 양수과다증 등...2024.11.22
-
Vsim maternity 산후출혈2024.08.311. 산후출혈의 개요 1.1. 조기산후출혈 1.1.1. 자궁이완 자궁이완은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자궁의 과다 팽만이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거대아, 다태임신, 양수과다 등으로 인한 자궁의 과다 팽만, 급속분만 혹은 자연분만, 다산부, 마취제, 황산마그네슘, 칼슘통로차단제, 자궁수축억제제의 사용, 융모양막염, 자간전증, 전치태반, 분만 시 격렬한 자궁수축이나 저긴장성 수축으로 자궁근육에 피로가 왔을 때 자궁이완증이 발생할 수 있다. 출혈의 위험요인이 있는 산모는 혈액형을 확인하고 교차시험을 실시하며, 수혈이 가능한 바늘로...2024.08.31
-
백혈병 출혈 위험성 관리 간호2024.10.251. 간호 진단 및 간호 계획 1.1. 혈소판 감소로 인한 응고 장애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1.1.1.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에는 대상자의 진술인 "어제 코피가 났어요." 와 "어디 부딪힌 데도 없는 것 같은데 멍이 잘 생겨요."가 포함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코피와 멍이 자주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객관적 자료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1) 진단명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을 진단받아 관해 유도를 위한 항암요법 중임을 알 수 있다. 2) 구강 간호 시 잇몸 출혈...2024.10.25
-
태반조기박리케이스2024.10.2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태반조기박리는 심각한 모아 이환율 및 사망률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발병률이 높은 편에 속하며 최근 고령임신, 황사 유입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발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전에 태반조기박리가 나타난 산모의 경우 다음 임신에서 태반조기박리가 나타날 확률이 약 4%로 10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주산기 사망의 약 15%를 차지하며 태아는 조산, 자궁 내 저산소증으로 1/3이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태반조기박리는 모체의 심각한 출혈로 인한 저혈량 쇼크를 일으킬 ...2024.10.25
-
intracrani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2024.08.151. 서론 1.1. 뇌출혈의 정의와 중요성 뇌출혈은 뇌혈관이 파열되어 뇌 조직 내부로 출혈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뇌출혈은 전체 뇌졸중의 약 10%를 차지하는 중요한 질환으로, 발병 후 48시간 이내에 50%의 환자가 사망할 정도로 예후가 매우 나쁘다. 뇌출혈의 주요 원인은 고혈압이며, 그 외에도 혈관기형, 응고 장애, 약물 복용,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뇌출혈 환자는 심한 두통, 구토, 반신마비, 언어장애 등의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보인다.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뇌출혈에 대한 정확한 ...2024.08.15
-
응급실 심근경색 flow chart2024.09.031. 급성 심근경색증 1.1. 서론 급성 심근경색증은 주로 동맥경화증이 진행된 나이 많은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식생활 패턴의 변화 등으로 인해 40~50세의 경우에도 흔하게 나타나고 있다. 협심증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하기도 하고, 부정맥 또한 누구에게나 언제나 올 수 있는 질환으로 각종 심장관련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매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심근경색의 병태생리와 원인, 증상, 합병증, 진단 검사 및 치료와 간호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분석해 봄으로써 심근경색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여 실제 사례에 적용해...2024.09.03
-
a-line 간호2024.09.051. 동맥혈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1.1. 목적 동맥혈가스분석검사(arterial blood gases analysis, ABGA)는 호흡기능의 지표로서 동맥혈에서 산소분압(PaO2), 이산화탄소 분압(PaCO2), pH, HCO3-,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하여 폐의 가스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가장 주된 방법이다. 이를 통해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와 폐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1.2. 검사대상 동맥혈가스분석 검사는 주로 호흡 문제가 의심되거나 대사 문제가 의...2024.09.05
-
산후출혈 간호진단2024.08.271. 산후출혈 1.1. 정의 및 증상 산후출혈은 질분만 후 5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나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과도한 출혈로 인해 현기증, 허약감, 심계항진, 발한, 혼돈과 같은 증상이나 저혈압, 빈맥, 핍뇨, 낮은 산소포화도(95% 이하)와 같은 저혈량 증상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기도 한다. 산후출혈의 주요 증상은 출산 직후 선홍색 피를 지나치게 많이 흘리는 것이며, 다량의 선홍색 질 출혈이 갑작스럽게 발생한다. 하복부에 동통이 나타나며, 열이 난다. 또한, ...2024.08.27
-
소뇌출혈2024.08.3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뇌 내출혈은 그 심각성을 파악하고 위험인자가 될 수 있는 것을 미리 알고 있어야 예방할 수 있다. 재발경향이 많고 장애상태가 영구적으로 남는 만성 건강 문제로서 환자나 가족 모두에게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번에 실습하게 된 칠곡 경북대학교병원 53병동은 재활의학과 환자가 주를 이룬 노인병동이다. 자연스럽게 뇌관련 질환으로 재활을 위해 입원하신 환자분들을 많이 뵙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소뇌출혈의 대상자를 사례연구로 선택하여 뇌출혈에 대한 지식을 ...2024.08.30
-
간경변증 간호진단2025.03.191. 서론 간경변증은 간 조직의 광범위한 염증과 섬유화로 인해 정상 간 조직이 손상되고 재생결절로 대체되어 간 기능이 저하되는 만성 간 질환이다. 간은 신체의 중요한 기관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경변증의 원인, 증상,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간경변증의 특성 및 관리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간경변증의 정의와 특성 2.1. 간경변증의 정의 간경변증은 간 조직이 손상되어 재생결절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고, 간...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