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요로계 장애 간호 및 급성 신부전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혈액투석 환자의 도관 기능부전 관리 프로토콜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1.1.2.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
1.2.1. 연구설계
1.2.2. 연구대상
1.2.3. 연구도구
1.2.4. 도관 기능부전 관리 프로토콜
1.3. 연구 결과
1.3.1. 도관개존 성공률
1.3.2. 출혈 합병증
1.4. 본론
1.5. 결론
1.6. 참고문헌
2. 급성신부전 환자의 치료
2.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2. 연구 방법
2.2.1. 항응고제 사용
2.2.2. 혈액투석 시행 적응증
2.3. 연구 결과
2.3.1. 급성신부전 환자의 특성
2.3.2. 혈액투석 시행 현황
2.3.3. 합병증 발생 현황
2.4. 논의
2.4.1. 급성신부전 발생 현황
2.4.2. 감염 및 출혈 합병증
2.4.3. 사망률 및 사망 원인
2.5. 결론 및 제언
2.6. 참고문헌
3. 급성 신부전의 신 대체요법
3.1. 신대치요법의 시작 및 중단 시기
3.2. 혈관 접근
3.3. 결과 및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혈액투석 환자의 도관 기능부전 관리 프로토콜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당뇨병, 비만, 고혈압 등 만성신부전의 주원인인 만성질환의 발생률이 증가함에 따라 신 대체요법(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중 가장 보편적인 치료 방법인 혈액투석 환자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이처럼 혈액투석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혈액투석을 위해 필요한 도관의 기능부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도관의 기능이 저하되면 혈액투석 기계의 펌프 속도에 맞추어 혈액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이는 혈액투석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결국 투석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도관기능저하의 주된 원인은 섬유소막이나 혈괴로 인한 도관의 끝 내부나 주변에 혈전성 폐색이 발생하는 것이다""
1.1.2.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 환자의 도관 기능부전 관리 프로토콜 적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이 연구는 도관기능부전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투석의 도관 기능부전에 대한 근거기반 실무지침을 적용한 후 도관개존 성공률 및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자의 질병 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도관 기능부전 관리 프로토콜 적용 전후의 도관 개존 성공률과 출혈 합병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2. 연구 방법
1.2.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도관기능부전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투석의 도관 기능부전에 대한 근거기반 실무지침을 적용한 후 도관개존 성공률 및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이다""
1.2.2. 연구대상
서울 소재 A대학병원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중, 프로토콜을 적용하기 전 15개월 동안 적용된 총 55사례와 프로토콜을 적용한 후 15개월 동안 적용된 총 39사례로, 도관기능부전으로 중재를 받은 환자가 연구대상이다.
1.2.3. 연구도구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도관개존 성공률은 도관 기능 저하로 인해 약물중재를 시행한 이후 당일과 다음 투석날짜에 처방된 시간까지 혈액투석을 마치는 것을 성공한 비율을 말한다. 혈액투석 기록 분석을 통해 도관개존 성공 건수를 약물 중재를 시행한 모든 건수로 나누어 도관개존 성공률을 산출하였다.
출혈 합병증은 약물중재 후 도관주변의 출혈이 있었는지 확인하였고, 뇌출혈, 소화기출혈, 혈뇨, 잇몸출혈 여부를 통해 전신 출혈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간호기록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출혈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생리학적인 지표를 확인하여 두 군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혈청 헤모글로빈 수치, 혈청 혈소판 수치, APTT 수치를 약물중재를 시행하기 전, 당일 또는 당일에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일의 검사 결과를 혈액검사 결과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1.2.4. 도관 기능부전 관리 프로토콜
도관 기능부전 관리 프로토콜은 혈액투석 환자의 도관 기능 저하를 관리하기 위한 근거기반 실무지침으로, 총 5개 영역과 14개 권고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혈액투석도관 기능의 사정을 위한 권고안 3개를 포함하고 있다. 도관 기능 저하를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중재를 시행하기 위해 주기적인 도관 기능 사정이 필요하다.
둘째, 투석도관 기능호전을 위한 보존적 중재 권고안 1개를 포함하고 있다. 도관을 세정하고 헤파린 충전 등의 보존적 중재를 통해 도관 기능을 호전시킬 수 있다.
셋째, 도관 기능호전을 위한 약물적 중재에 대한 권고안 7개를 포함하고 있다. 혈전용해제인 urokinase를 이용하여 Push protocol, Short dwell, Long dwell의 3가지 약물 중재 방법으로 도관 기능을 호전시킬 수 있다. 약물 중재 시 출혈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한다.
넷째, 도관기능 호전평가 권고안 1개를 포함하고 있다. 약물 중재 후 도관 기능이 호전되었는지 평가하고, 호전되지 않을 경우 반복 중재를 시행한다.
다섯째, 도관 기능의 지속적 유지관리를 위한 권고안 2개를 포함하고 있다. 도관 감염 예방을 위해 무균술을 준수하고, 정기적인 도관 관리를 통해 도관 기능의 지속적인 유지가 중요하다.
이러한 프로토콜의 적용을 통해 혈액투석 환자의 도관 관리가 체계화되고, 도관 개존 성공률이 향상되며 합병증 발생에도 영향이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프로토콜의 병원 간 협력 연구와 확대 적용으로 혈액투석 환자 간호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1.3. 연구 결과
1.3.1. 도관개존 성공률
프로토콜 적용 전 그룹의 도관개존 성공률은 40건(72.7%)인 반면, 프로토콜 적용 후 그룹의 도관개존 성공률은 35건(89.7%)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를 통해 프로토콜 적용이 도관개존 성공률을 향상시키는데 ...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급성 신부전, www.snuh.org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급성 신부전, www.amc.seoul.kr
김의식, 함영록, 장원익, 정지윤, 권오경, 정사라, 최대은, 나기량, 이강욱, 신영태, "지속적 신대치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으로 치료받은 급성 신부전증 환자들의 예후 인자."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9.1 (2010): 54-63.
나지선 · 이완수 · 백종훈 · 박하열 · 김현리 · 정종훈. "급성신부전의 치료로 지속적 신대치요법과 간헐적 혈액투석을 시행한 환자들의 예후인자 및 결과분석."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35.3 (2010): 188-194.
이완수. "급성 신부전의 치료로 지속적 신대치요법과 간헐적 혈액 투석을 시행한 환자들의 예후 인자 및 결과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광주
Co, Ivan, and Kyle Gunnerson. “Emergency Department Management of Acute Kidney Injury, Electrolyte Abnormalities, and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the Critically Ill.”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37,3 (2019): 459-471.
Karakala, Nithin, and Ashita J Tolwani. “Timing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for Acute Kidney Injury.” Journal of intensive care medicine vol. 34,2 (2019): 94-103.
Ronco, Claudio et al.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acute kidney injury: controversy and consensus.” Critical care (London, England) vol. 19,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