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상자 안에 있는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

검색어 입력폼
저자
아빈저 연구소
독후감
16
책소개 이 책은 자기 기만에 빠진 사람을 상자 안에 있는 사람이라고 비유하면서 재미있고 유익한 이야기를 통해 <자기기만>이 무엇인지를 비롯하여 어떻게 사람들이 거기에 빠지는지, 어떻게 그것이 조직의 일을 망치는지, 그리고 그것을 해결하는 놀라운 방법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부제는 자기 기만과 자기...
  • 상자 안에 있는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아빈저 연구소-독후감
    상자 안에 있는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아빈저 연구소-독후감
    <썸네일을 참조해주세요>
    독후감/창작| 2023.04.27| 1 페이지| 2,000원| 조회(21)
  • [ 상자 밖에 있는 사람(진정한 소통과 협력을 위한 솔루션) ]의 내용 요약
    [ 상자 밖에 있는 사람(진정한 소통과 협력을 위한 솔루션) ]의 내용 요약
    ❍ 자기 기만 • 문제의 진정한 원인에 멀도록 만들며, 일단 눈이 멀면 생각해낼 수 있는 모든 해결책은 상황을 실제로 악화 시킴. • 문제가 자기에게 있음이 확실한데도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기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저항함. • 아기의 사례 ∙아기 : 뒤쪽으로 자기 몸을 밀면서 돌아다님 ⇨ 아기가 가구 밑으로 들어감 ∙아기는 울기도 하고, 가구의 옆면과 밑면에 머리를 부딪치기도 하면서 몸부침 침 - 아기는 가구를 증오함 ∙아기는 빠져 나오기 위한 유일한 행동을 함 (더 열심히 뒤로 미는 것) - 상황을 더 악화시킴 ↓ ▴아기 입장에서 아무튼 자신에게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기 때문에 결코 자신에게 문제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함 ▴아기가 이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문제는 당연히 아기에게 있음 ▴자신에게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모든 수단을 아기가 동원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문제는 어떻게 자기자신이 문제가 되고 있는지는 아기가 알 수 없다는 점. 자기 기만 (상자안에 갇히기) ❍ 『이그나즈 제멜바이즈』 • 1800년대 중반 유럽 비엔나시립병원(의학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산부인과 의사 • 병원내 산모의 높은 사망률 - 의사가 산파역할하는 병동 사망률(사망원인) : 10% ('산파열'[고열]) - 조산사가 산파역할하는 병동 사망률 : 5% ('산파열'[고열]) ∙의사가 있는 산모병동이 사망률이 높은 이유를 찾고자 ‘분만자세부터 환기와 식단, 세탁방식까지 표준화 시킴 ∙하지만, 두 병동의 사망률 차이를 줄이지 못함 • 다른 병원 방문으로 장기간 병원을 비운 동안 산모의 사망률이 현저히 떨어짐. ∙많은 의사들이 자기 시간을 쪼개 시체에 대한 연구와 살아있는 환자의 치료를 병행 ∙의사의 손을 통해 세균이 건강한 환자에게 오염시킴. (즉, 의사가 세균 보균자) ∙의사들이 진료전 손을 소독시킨 후 환자들이 사망률이 1%대로 크게 떨어짐 ↓ 의사들은 본인들이 알고 있는 최선의 방식으로 일했지만, 자신들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병을 옮기고 있었음.
    독후감/창작| 2023.02.23| 12 페이지| 3,000원| 조회(51)
  • 상자 밖에 있는 사람 독후감  A+
    상자 밖에 있는 사람 독후감 A+
    현실 앞에서 자신을 있는 그대로 지각하지 않고 자기 자신을 속이기 때문에 상자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상자는 어떤 의미에서 보면 자신을 세상과 단절시키는 자신이 만들어놓은 굴레라는 생각이 든다. 누구나 자신만의 상자를 가지고 있고 상자 안에 있는 모습을 보이기 십상이다. 그럴 때 자신과 타자의 불완전성을 인정하고 서로 진솔한 모습으로 대한다면 함께 지내면서 좀 더 효과적이고 활력 넘치는 집단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자기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는 것은 분명 고통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일단 상자 밖에서 세상을 대하게 되면 진실한 인간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톰과 버드의 면담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그 면담을 통해서 톰은 자신이 알지 못했던 문제점 - 즉, 상자 안에서 타인을 봐왔다는 점을 깨닫게 되고 생각의 전환을 함으로써 이야기는 끝을 맺는다. 주인공은 톰이다. 하지만 책을 읽다보면 버드와 만나고 있는 사람은 바로 나라는 착각이 든다. 그의 얘기 한 마디 한 마디가 마치 나의 잘못을 알고 있는 선생님의 꾸지람처럼 와 닿는다.
    독후감/창작| 2021.09.25| 4 페이지| 1,000원| 조회(51)
  • [독후감] 상자 밖에 있는 사람(아빈저연구소) - 위즈덤하우스
    [독후감] 상자 밖에 있는 사람(아빈저연구소) - 위즈덤하우스
    “우리는 함께 일하고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이 진정으로 누구인지 알지 못합니다. 그 사람이 버드든 케이트든, 혹은 당신의 아내나 아들, 척 스탤리 같은 어떤 사람들조차도 말입니다. 우리가 그들과 진정으로 함께 소통하기 전까지는 우리는 그들의 가치를 잘 모릅니다. 우리의 위대함이란 다른 사람들의 위대한 점을 발견해 주는 것이 있습니다.” 더 큰 문제란 바로 ‘나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것’ 이었습니다. ‘자기기만’, ‘상자 안에 있다.’ 우리가 특정한 행동을 하면서도 자신은 그런 행동을 하지 않는다고 믿으려 할 때 즉, 자기기만을 할 때 우리는 상자 안에 들어갑니다. <중 략> 상자 안에 들어간다는 은유는 특정한 행동을 하면서도 자신은 그런 행동을 하지 않는다고 믿으려 하는 자기기만을 의미한다. 상자 안에 갇혀 있기 때문에 나만이 의미와 가치 평가의 유일한 기준점이 된다. 실재는 왜곡된 표상으로 드러나고 행동은 홀로 정당화된 행위로 나타난다. 그렇게 상자 안에 갇힌 개인은 타인도 상자 안으로 몰아넣는다. 소통은 단절되며 상자 안에서 고립은 악화된다. 『상자 밖에 있는 사람』은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상자 밖으로 나와야 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독후감/창작| 2020.12.09| 5 페이지| 1,500원| 조회(67)
  • 상자 밖에 있는 사람 독후감
    상자 밖에 있는 사람 독후감
    이 책의 원제인 「Leadership & Self-deception : getting out of the box」에서 ‘Deception’의 의미는 ‘속임’ 혹은 ‘기만’으로 직역하면 「리더십 & 자기기만 : 상자 밖으로 나가기」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지를 보고 난 뒤엔 다소 생소한 단어인 ‘자기기만’은 과연 어떤 의미인지, 이것과 리더십은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마지막으로 상자 안과 밖은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에 대하여 상당히 궁금한 상태로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독후감/창작| 2020.11.23| 2 페이지| 1,000원| 조회(76)
  • 람팀워크샵  사전과제 - 상자 안에 있는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
    람팀워크샵 사전과제 - 상자 안에 있는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
    1. 상자 밖에 나온다는 것은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요?  이 책에서 우리가 상자안에 있는다는 것을 알아 차리는 순간 이미 상자 밖에 있다고 표현하고 있다. 누군가를 대상이 아닌 나와 같이 동일한 가치를 지닌 한 인간으로 생각하는 것은 중요하며, 내가 상자밖에 있을 때 상대방의 소망, 필요, 관심, 두려움 등을 세심히 봐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지금보다 소통과 협력이잘되려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 먼저 상자 안에서 밖으로 나와, 서로를 비난하지 않고 배려심을 갖고 내가 먼저 변화되는 삶이 필요할 것 같다.
    독후감/창작| 2016.11.07| 1 페이지| 1,000원| 조회(88)
  • 리더십과 자기기만(Leadership & self -deception)-상자안에 있는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독후감
    리더십과 자기기만(Leadership & self -deception)-상자안에 있는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독후감
    흥미로운 제목의 책을 하나 또다시 펼치게 되었다. 이는 원어 제목으로는「Leadership and self-deception」, 한국 제목으로는「리더십과 자기기만」이라는 본제목을 가지고「상자 안에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이라는 부제목을 가지고 있었다. 사람들이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자기기만」이라는 용어와 함께, 사람을 나누는 기준인 상자가 뜻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들었다. 이 역시 자기 계발서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책이므로 먼저 저자에 대해서 파악한 후 이 저자가 겪었던 경험에서 무엇을 얻어낼 수 있는지 고민해 보았다. 이 책은 아빈저 연구소에서 지은 것으로, 아빈저 연구소는 세계적인 경영 교육, 컨설팅 및 코칭 회사이며, 여러 학문분야의 전공자들을 포함하는 학술협회이다. 일단 저자에 대한 사전정보를 통해서는 상자에 대한 개념을 잡을 수 없었다. 하지만 자기기만이라는 단어는 스스로 자신을 속인다는 뜻이므로, 상자를 통해 자신을 가리고 자신의 오점에 대한 회피(기만)을 하는 것이 아닌지 생각을 해보았다.
    독후감/창작| 2014.01.10| 2 페이지| 1,500원| 조회(517)
  • 리더십과 자기기만, 상자 안에있는 사람 상자 밖에 읽는 사람을 읽고
    리더십과 자기기만, 상자 안에있는 사람 상자 밖에 읽는 사람을 읽고
    제목보다 부제가 더 이끌리는 책이었다. 부제로 붙은 ‘상자 안에 있는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 이란 의미가 어떤 의미일지 매우 궁금했었다. 또한 나는 상자 안에 있는 사람에 속하는지, 아니면 상자 밖에 있는 사람인지도 궁금해 졌다. ‘상자 안에 있는 사람’은 어떤 사람을 말하는 것일까? 만약 내가 다른 사람을 위해 해야 한다고 느끼는 것에 반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나는 자기 스스로의 배반행위를 정당화시키는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시작한다. 이렇게 자신을 정당화시키는 방식으로 세상을 볼 때, 나의 지각은 내 편의와 이익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왜곡하게 된다. 즉 모든 사물,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되는 상태를 ‘자기기만’에 빠졌다고 하며, ‘상자 안’에 들어갔다고 하는 것이다. 상자 안에 들어있는 사람들은 자기중심적 사고에 사로잡혀서, 인간 관계에서 빚어지는 모든 갈등의 원인을 상대방의 탓으로만 돌리는 경향이 있게 된다.
    독후감/창작| 2012.09.05| 2 페이지| 1,000원| 조회(401)
  • 상자안에있는사람 상자밖에있는사람 독후감
    상자안에있는사람 상자밖에있는사람 독후감
    매서운 바람이 코끝을 시리게 하는 계절이 다가옴과 함께 나의 인간관계에서도 매서운 바람이 일기 시작했다. 어느 순간부터 항상 양보하고 인내해야만 하는 내 자신이 답답했고 자신의 뜻대로 모든 일을 추진하였음에도 항상 자신이 의도한 방향으로만 일을 추진하려는 친구들이 얄미워 지기 시작한 것이다.
    독후감/창작| 2010.12.18| 1 페이지| 1,000원| 조회(417)
  • `상자 안에 있는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 을 읽고 (독후감)
    `상자 안에 있는 사람 상자 밖에 있는 사람` 을 읽고 (독후감)
    “상자 안에 있는 사람과 상자 밖에 있는 사람” 이 책의 제목은 무엇을 의미 하는 것일까? 나는 이 책제목이 우물 안 개구리처럼 자신이 사는 곳이 전부인 것처럼 틀에 얾매여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처럼 상자 안과 밖을 통해 이야기 하는 것인가 생각했다. 이 책의 주인공은 자신의 회사를 그만두고 경쟁사의 사원으로 옮기면서 자신이 완벽하고 유능하다고 생각되었던 자신이 자기배반과 자기기만에 빠져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자기배반이 자신의 현실감각을 왜곡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게되어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 본 그는 상자 안에 들어가게 되는 이유를 이해하며 상자 밖으로 나오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로버트 전 사장과의 뜻밖의 만남을 통해 상자 밖으로 빠져나오는 방법을 깨닫게 된다. 자기배반은 곧 자기기만에 이르게 한다. 자기배반과 자기기만은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이며, 조직 안에서 여러 갈등과 분쟁의 근본적 원인이 된다. 이 때 리더십은 어떤 영향력도 발휘할 수 없다. 문제해결을 위해 다른 사람들을 변화시키려고 한다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대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등의 노력도 허사이다. 그리고 문제의 해결을 위한 회피나 무관심, 의사소통, 새로운 기술이나 기법의 동원, 내 행동의 변화 등의 여러 노력들도 마찬가지다. 상자 안에서는 상자 밖을 정확히 볼 수 없기에 상자 밖의 여러 상황들을 통제할 수 있는 일이 절대적으로 제한되는 것이다.
    독후감/창작| 2010.11.15| 2 페이지| 1,000원| 조회(1,123)
이전10개 1 2 다음10개
AI 챗봇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