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 통합검색(155)
  • 리포트(146)
  • 시험자료(6)
  • 방송통신대(2)
  • 논문(1)

"유사 속격" 검색결과 141-155 / 155건

  • 한글파일 [고대국어학]고대국어의 문법체계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及은 부사로 다루기도 하나 편의상 여기서 다루기로 한다. ... 이 때의 矣와 叱은 15세기의 속격조사 ‘-?/의’와 ‘-ㅅ’에 각각 대응된다. 보조사로서로 如乎가 있다.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3.26
  • 한글파일 [국어학개설] 5장 국어사
    을 「계림유사」에서 ‘보살(??)’ 이라 하여 이를 뒷받침 해 준다. ‘ㅴ, ㅵ’의 ‘?, ?' ... 체언 뒤에 온 조사 주격조사로 ‘이’(이, 시) 속격조사로 ‘의/?’(의, 의) 및 ‘ㅅ’(질) 대격조사로 ‘ㄹ’(을)과 ‘흘’(힐) 구격조사로 ‘루’(류)가 쓰였다. ... . * 고유명사 표기 -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 실린 인명, 지명, 관명 등과 중국?일본의 역사책들을 통해 신라어 연구의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6.13
  • 한글파일 영어학의 하위분야
    전자는 의미의 유사성과 다의성, 동음이의성(同音異義性) 등 단어의 의미소를 분석하고 그 구조와 체계를 연구하는 문제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 , kings'에서는 복수 속격을 표시하며, 나아가서 sings에서는 동사의 3인칭 단수 현재를 표시하는 것을 기술한다. ... 경우의 세 개의 다른 형태〔-s,-z,-iz〕를 기술하고 다음에 그것이 kings에서는 명사의 복수를 표시하고, kings에서는 명사의 복수를 표시하고, king`s에서는 단수 속격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6.02
  • 한글파일 [영문법]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가 명사머리어와 속격관계에 있으면 관계대명사는 whose 예) The woman whose daughter you met is Mrs Brown. 2. ... 선행사와의 관계는 등위접속과 유사하지만, 문장 관계절은 부연어와도 또한 많은 점에서 같다. 예) He admires Mrs Hewit, which surprises me. ... 예) This is the time (that) she normally arrives (at). 17.10 Quantified heads (양화 머리어)-유사관계대명사 as ∼ as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10.27
  • 한글파일 [국어학] 중세국어의 음운적 특징
    명사와 조사 사이의 모음조화는 잎/으 를 내포하고 있는 대격조사 잎/을 , 속격과 처격의 잎/의 ( 및 애/에 ), 방향과 도구의 잎로/으로 , 그리고 대조의 특수조사 잎/은(다/는 ... 현대국어의 좁쌀, 입쌀, 햅쌀 이나 볍씨, 욉씨 나 입짝, 접짝, 입때, 접때 , 또는 부릅뜨- 의 ㅂ 이 이들 ㅂ 의 잔재일 수 밖에 없다는 것도 그렇고, 힝 을 계림유사에서 菩薩
    리포트 | 8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4.10.29
  • 한글파일 [국어사] 국어 음운의 변천
    또한 된소리 계열이 등장하게 되는데, 전기 중세 국어에서 된소리가 출현하는 것은 이기문에 따르면 속격 '叱'(ㅅ)이나 어미 '尸'(ㄹ)다음에 오는 단어 두음 'ㅂ, ㄷ, ㅅ, ㅈ, ... '枝次'(갖:찬기파랑가), '異次'(잎:삼국유사, 권3)도 음절말 'ㅈ, ㅊ'의 발음을 나타낸 것이다. ... 반치음 'ㅿ'은 「계림유사」에 나오는 '弟曰兒'이 후기 중세 국어 '아힝'(월인석보)와 동일한 것으로 보이므로 'ㅿ'이 존재했다고 하겠다. 당시 'ㅿ'은 음절말에도 있었다.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10.23
  • 한글파일 [중세국어] 중세국어문법
    첫째는 계림유사 이전 시기부터 있었던 것이요, 다른 하나는 13세기 이후, 'y, ㄹ, ㄴ, ㅁ'과 모음 사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s > z 의 변화로 나타난 것이다. ... 이 된소리는 본래 단어, 또는 형태소의 결합에서 나타난 것으로, 고대국어에서는 속격조사 '叱'이나 동명사어미 '尸'뒤에 오는 단어의 첫소리 'ㅂ, ㄷ, ㅅ, ㅈ, ㄱ'등이 된소리 발음되었을
    리포트 | 1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11.24
  • 한글파일 [어문] 전북방언
    ·속격은 -으 로 실현된다. 예) 손자으 자식잉개. ·비교격은 -마니(로), -맹이(로) 실현된다. 예) 너마니로 좋아혀. ... ·선어말어미 -겄- 은 표준어의 -겠- 과 유사한데, 전북방언에서는 추정 의 의미만을 나타낼 뿐 의지 는 나타내지 않는다.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11.14 | 수정일 2020.11.18
  • 한글파일 [국어] 알타이어족설
    다만 '4'를 의미하는 튀르크어의 tout와 몽골어의 dorben이 유사할 따름이다. 그러나 유사성에서조차 튀르크어 tout는 차용어일 개연성이 크다. ... 튀르크어에 예외적으로 어두에 n·를 가진 의문대명사 ne ('무엇')가 있는데 레세넨에 의하면 이것은 속격접미사에 있는 비음에 동화되어 생긴 것이다. 4) 문법형태소 람스테트 및 다른 ... 이와 유사한 견해는 '벤찡'에 의해서도 표명되고 있다. 그가 알타이어족설에 대해서 회의적인 태도를 취하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9.19
  • 한글파일 [영어발달사] 영어발달사 2
    어두의 h의 발음은 h 음과 유사했으며 인접한 모음에 따라서 연구개 마찰음 χ , 경구개 마찰음 으로 나타내었다. ... 명사는 4격(주격, 대격, 속격, 여격)을 가지며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느냐 자음으로 끝나느냐에 따라 모음 변화와 자음 변화로 나누어진다.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5.15
  • 한글파일 [국어국문]중세국어
    주격 伊, 是(-이); 속격 矣, 衣(의/잎ㅣ), 대격 乙(-ㄹ) 등이 그것이다. ... 계림유사는 중국 송나라의 손목이 지은 것으로 '土風, 朝制, 方言'의 세 권으로 이루어졌 ... 福, 卜'등으로 표기되었으며 지명에 많이 보이는 '伐'은 취락을 의미한 단어인 듯하며 백제어의 '夫里'에 대응된다. ▣ 中世 前期國語 資料 전기 중세어의 중요한 문헌 자료에는 계림유사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1.12.08
  • 한글파일 [국어국문] 국어사개설
    또한 『삼국사기(三國史記)』 및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실린 인명(人名), 지명(地名), 관명(官名) 등의 고유명사 표기도 신라어 파악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 다음과 같은 7모음 체계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중(二重)모음(母音)은 중세국어보다 더 많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i u u a a 신라어의 문법형태 조사 주격조사 '이' (伊, 是) 속격조사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12.06
  • 한글파일 국어음운 변천
    계림유사는 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형성되지 않았음을 보여 준다. ... 죽살-, 듣보-, 빌먹- 2) 파생: 사동젖가미사--히-(-이-), - -, -가-, -가- 피동접미사--가-(-이-, -기-) 나 曲用 1) 격조사: 주격(-이), 대격(-가), 속격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11.13
  • 한글파일 중세국어
    주격 伊, 是(-이); 속격 矣, 衣(의/잎ㅣ), 대격 乙(-ㄹ) 등이 그것이다. ... 계림유사는 중국 송나라의 손목이 지은 것으로 土風, 朝制, 方言'의 세 권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방언에있다. ... 단어가 福, 卜 등으로 표기되었으며 지명에 많이 보이는 伐 은 취락을 의미한 단어인 듯하며 백제어의 夫里 에 대응된다. ▣ 中世 前期國語 資料 전기 중세어의 중요한 문헌 자료에는 계림유사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10.03
  • 한글파일 국어계통연구
    또한 『삼국사기(三國史記)』 및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실린 인명(人名), 지명(地名), 관명(官名) 등의 고유명사 표기도 신라어 파악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 다음과 같은 7모음 체계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중(二重)모음(母音)은 중세국어보다 더 많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i u u a a ▶신라어의 문법형태 조사 주격조사 '이' (伊, 是) 속격조사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1.05.30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