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 통합검색(20)
  • 리포트(18)
  • 시험자료(1)
  • 방송통신대(1)

"훈민정음 슈룹" 검색결과 1-20 / 20건

  • 한글파일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 표기 단어 정리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 단어 정리 1. 종성해(終聲解) 단어 뜻 ?곶 배나무의 꽃(梨花) ?의 갗 여우의 가죽 2. 합자해(合字解) 단어 뜻 ·? 땅 ? ... 달(月) 올창 올챙이 :별 별(星) *참고: 어휘 분야별 분류 1) 김슬옹, 『김슬옹의 내가 만난 세종(6) 훈민정음 해례본의 한글 표기 낱말 124』, 세종신문, 2021.09.09 ... 율무 ·갇 갓(笠) 죽 밥주걱 싣 단풍나무(楓) 슈룹 우산 ·신 신(?): 신발 쥬련 여자의 수건 (?) ·반되 반딧불이 ·엿 이당(飴?)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3.05.13
  • 한글파일 2015 개정 교과서, 중세국어 음운론 정리
    뫼, 오래, 슈룹 - 우산, 산, 대문 ? 국어의 어제와 오늘 ?세종어제훈민정음? ?소학언해? - 음운과 표기 - 어휘 - 문법 ? 이해 활동 1. ?세종어제훈민정음?과 ? ... 훈민정음 창제 원리 비상(박안수) ?세종어제훈민정음?에는 세종 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이 담겨 있다. ... 세종어제훈민정음? ? 이해 1. ‘훈민정음언해본’에서 알 수 있는 한글 창제의 목적을 정리해 보자. 2.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05.14
  • 한글파일 방송통신대_우리말의역사_교재와 방송강의 1~4강을 참고하여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중성자의 기본으로 삼은 것으로 영어의 ‘A’와 비슷한 발음이었다. ... 이에 따라 구결은 훈민정음 창제 이후 자연스럽게 국문으로 대체되었다. 구결은 신라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는데, 구결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존재했다 ... 정음문자로 쓰여 진 것이 있고, 의미 변화가 일어난 것들도 있다. 간난, 분별, ?
    방송통신대 | 8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6.19
  • 한글파일 국어사개론 제6장 전기 중세국어 요약문
    14세기 음운체계(특히 모음체계)의 현저한 변화 조선 건국과 훈민정음 창제가 국어사에서 중요한 사건이 아닌 이유 ? ... 17세기 왕조 고려 왕조 조선 왕조 문자 한자 훈민정음 자료 예시 계림유사(鷄林類事) 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 14세기를 경계로 구분하는 이유 ? ... (가희)’와 ‘犬’의 의미가 통함 (ex2) ‘刀子曰割(도자왈할)’과 중세국어 ‘갈’ (ex3) ‘傘曰聚笠(산왈취립)’과 중세국어 ‘슈룹’ (ex4) ‘水曰沒(수왈몰)’과 중세국어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0.04.28
  • 한글파일 훈민정음 용자례 표로 정리
    훈민정음 용자례 첫소리 글자 ㄱ 감(? 감나무) ?(蘆갈대) ㅋ 우케(未?稻 방아 찧지 아니한 벼, 곧 겉벼) ?(大豆 콩) ㆁ 러?(獺 너구리) 서?(流? ... (飯 주걱) 슈룹(雨? 우산) 쥬련(? 수건) ㅕ 엿(飴? 엿) 뎔(佛寺 절) 벼(稻 벼) 져비(燕 제비) 끝소리 글자 ㄱ 닥(楮 닥나무) 독(甕 독/항아리) ㆁ 굼?(??
    리포트 | 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4.06.26
  • 한글파일 용자례 훈민정음
    용자례의 차례는 모두 훈민정음 본문에 나타나는 낱자의 차례에 따랐다. Ⅱ. 용자례 풀이 1. ... 용자례의 구성과 내용 용자례는 ‘훈민정음 해례’의 여섯째 장으로, 각 소리의 글자들을 실제로 사용한 보기를 든 것이다. ... 초성(初聲)에 34개, 중성(中聲)에 44개, 종성(終聲)에 16개, 모두 94개의 낱말을 훈민정음으로 제시하고 있다.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5.02.10
  • 한글파일 후기 중세 국어의 음운, 문법, 어휘적 특징
    후기중세국어는 전기중세국어와 달리 훈민정음이라는 새로운 표음문자로써 당시의 언어를 표기할 수 있었고,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음운, 문법, 어휘 면에서 후기중세국어이전시대의 국어와는 ... 또한 훈민정음의 음운체계는 병서와 연서라는 것이 있다. ... 후기중세국어의 언어적 특징 (1) 음운 1) 훈민정음의 음운체계 훈민정음은 초성 17자, 중성 11자의 28자 체계였고, 한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3분하고 있으며, 종성에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06.02
  • 한글파일 중1 - 언어의 본질과 기능
    세종대왕이 처음 훈민정음을 창제했을 때 있었던 몇몇 글자들이 지금은 사라져 쓰이지 않고 있음. ... 옛날 오늘날 옛날 오늘날 얼골 얼굴 즈믄 천 나모 나무 온 백 슈룹 우산 미르 용 어엿브다 불쌍하다 여름 열매 불휘 뿌리 어리다 어리석다 고 코 곶 꽃 4.
    시험자료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7.04.18 | 수정일 2021.03.31
  • 한글파일 훈민정음 원문관련
    훈민정음해례 제자해 천지지도 일음양오행이이. 곤부지간위태극 이동정지후위음양. 범유생류재천지지간자 사음양이하지. 고인지성음 개유음양지리 고인불찰이. ... 훈민정음 국지어음 이호중국 여문자불상류통 고우민 유소욕언이종불득신기정자 다의. 여 위차민연 신제이십팔자 욕사인인이습 편어일용이. ㄱ. 아음. 여군자초발성 병서. 여규자초발성 ㅋ. ... 위반초 슈룹위우산 쥬련위세. ㅕ 여·엿위이당 뎔위불사 벼위도 :져비위연. 종성ㄱ 여닥위저 독위옹 ㆁ 여:굼?위제조 올?위과두. ㄷ 여·갇위립 싣위풍. ㄴ 여·신위구 ·반되위형.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12.05
  • 한글파일 중세 국어 문법
    /-ㄹ’의 형태가 있었는데, 초기 훈민정음에서는 양모음 어간의 체언 뒤에 주로 ‘-?/?’ ... 통용되는 표준어 ; 감투, 고리, 다홍, 먹, 보배, 붓, 비단, 배추, 사탕, 상투, 수수, 심지, 조리, 진짓, 자줏빛, 투구, 피리 2)몽고어 차용어 말 , 깁(及) , 비단 훈민정음 ... n sui 나런 쇠) → 금(金) , 漢歲 (han sui 한 쇠) → 은(銀 ) , sjurip 슈룹 → 우산(雨傘) 2)중세 한국어 시기에 고유어, 귀화어가 한자어로 대치된 어휘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2.16
  • 한글파일 훈민정음 해례본에 수록된 순 우리말 단어조사
    훈민정음 해례본에 수록된 단어조사」 국어교육과 200333110 남태식 - ?곶 : 베꽃(梨花) - ? ... : 율무 - 죽 : 밥주걱 - 슈룹 : 우산 - 쥬련 : 여자의 수건 - ·엿 : 구슬모양의 엿 - 뎔 : 절(寺) - 벼 : 벼(稻) - :져비 : 제비 - 닥 : 닥나무(楮).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11.20
  • 한글파일 [인문어학]국어학개설 - 국어사(국어의계통,형성과시대구분,음운,문법)
    훈민정음』의 ‘슈룹’, 온과 즈믄, ?다가, ??, 뫼 등의 고유어가 있다. 모음전환에 의한 어의분화 국어에는 모음 하나를 바꾸어 비슷한 의미의 새 단어를 만들다. ... 이 기간 중 그동안 우리들의 가장 큰 관심을 끌어 왔던 것은 훈민정음 창제 직후 몇 십 년의 국어였다. ... 이 음은 『훈민정음』의 제자해에 “입술을 가벼이 다물어 후성이 많이 섞인 소리” 라고 하여 ‘ㅂ’과는 달리 폐쇄음으로 발음되는 것이 아니라 마찰음으로 실현되는 양순마찰음 [β]였을
    리포트 | 11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7.06.25
  • 한글파일 중세국어 요약
    모음체계 (1) 단모음체계 ㅣ(i) ㅡ( ) ㅜ(u) ㅓ( ) ㅗ(o) ㅏ(a) ㆍ( ){) 이 음은 『훈민정음』(解例本)에서 혀가 오므라들고 소리가 깊다 라고 규정된 소리인데 ㅏ ... 고유어 : 오늘날에는 사어(死語)가 되어버린 경우가 많다 슈룹(>우산), 온(>일빛), 즈믄(>일쳔), 힝다가(>만일에), 까링(>江), 뫼(>山) 6.4.3.2.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4.26
  • 한글파일 [훈민정음] 훈민정음 중성 연구
    훈민정음 의 중성 설명에 대한 해석 1 중성자 의 분류 훈민정음 본문에는 새로 창제된 글자 28자가 실려 있다. ... 이는 위에서 언급되었듯이, 훈민정음 본문에 나타나는, 새로 만든 11자와 이들을 조합하여 만든 18자가 분류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이리하여, 훈민정음 에 등장하는 중성자 는 모두 29자가 된다. 그런데 이들 중성자 는 몇 가지 분류 근거를 바탕으로 여러 부류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6.01
  • 한글파일 [국어국문] 훈민정음 및 한글의 가치
    훈민정음이란? 훈민정음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이다. ... 훈민정음이란? 2. 훈민정음 원본 3. 한글의 가치 ㄱ. 한글의 창제 동기와 목적 ㄴ. 한글의 제자원리 ㄷ. 한글의 우수성 ㄹ. 만들어진 기간 ㅁ. 음성 표기의 폭이 넓다. ㅂ. ... 한글의 가치를 확실하게 알기 위해 한글의 제자원리를 적은「훈민정음」을 살펴보도록 하자.
    리포트 | 2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4.10.30
  • 한글파일 [중세국어]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해례본 ; 예의편 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야 與文字로 不相流通.할새 故로 愚民이 有所欲言하여도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라 予. 一爲此憫然.하야 新制二十八字. ... 닥…닥나무(楮) 종이 만드는 나무 싣…단풍나무(楓) 섭…섶나무(薪) 훈민정음 해례본 ; 정인지 서문(1446.9.상한) 鄭麟趾 序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 貞에서 다시 元이 되고, 겨울이 다시 봄리말에는 쓰나 한자에는 않쓰고 ㄷ 이 가볍게 ㄹ 됨은 시속의 습관이라 훈민정음 해례본(합자해; 1446.9.상한) 初中終三聲 合而成字.
    리포트 | 1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7.08
  • 한글파일 훈민정음해례본 - 한글 번역
    훈민정음 해례본」 世宗御製序文(세종어제서문) 國之語音異乎中國與文字不相流通 (국지어음이호중국여문자불상류통) 우리나라 말은 중국 말과 달라, 한자와 서로 잘 통하지 아니한다. ... 반□, 슈룹우산, 쥬련세과 같고, ㅕ는 ·엿이당, 뎔불사, 벼도, :져비연와 같고,) 終聲 ㄱ如닥爲楮 독爲甕. ㆁ如:굼?爲?? 올?爲??. ㄷ如·갇爲笠 싣爲楓. ㄴ如·신爲?
    리포트 | 2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08.01.18 | 수정일 2015.10.01
  • 한글파일 훈민정음 해례본 전문
    훈민정음 해례본》(1446.9.상한) 예의편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서문 ※본 자료는 학술적 검증을 거친 자료가 아님을 밝혀둡니다. ... 개인적인 학습에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 터지기 올림 훈민정음 해례본 ; 예의편 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야 與文字로 不相流通.할새 故로 愚民이 有所欲言하여도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라 ... 닥…닥나무(楮) 종이 만드는 나무 싣…단풍나무(楓) 섭…섶나무(薪) 훈민정음 해례본 ; 정인지 서문(1446.9.상한) 鄭麟趾 序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리포트 | 2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06.20
  • 한글파일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해례본정리
    훈민정음해례 1)제자해 (1) 원리 천지의 도는 음양오행이고 사람의 소리도 음양의 이치가 있으니 그 소리에 따라 이치를 밝혀냈다. (2) 초성 ①정음 28자는 각각 그 꼴을 본떠 만들었다 ... 정음의 글자는 다만 스물 여덟이지만 얽힌 것을 풀어 찾으며 깊은 것을 ? ... (飯草,) 슈룹(雨?), 쥬련(?)과 같고, ㅕ는 ·엿이(飴?), 뎔(佛寺), 벼(稻), :져비(燕)와 같고, 종성의 ㄱ은 닥(楮), 독(甕)과 같고, ㆁ은 :굼?(??), 올?
    리포트 | 1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4.11.20
  • 한글파일 고대한국어
    ○고대 한국어○ -자료- 첫째, 15세기이래 훈민정음으로 기록되어 온 한국 전통 한자음을 들 수 있다. 15세기의 한자음이 한국어의 음운 체계 안에서 변화 규칙에 따라 한국 한자음 ... 이{향약구급방}은 중세 국어의 훈민정음 표기에서 'ㅅ' 자로 표기될 어휘와 'ㅈ'(또는 'ㅊ') 자로 표기될 어휘를 정확히 구별하여 기록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즉, 고대 국어 단계에서는 'ㅡ'와 'ㆍ'라는 모음은 'ㅏ,ㅓ,ㅗ,ㅜ,ㅣ'들 모음의 변이음으로는 존재했으나 음소로서 확립되지 않았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15세기 훈민정음으로 'ㅣ'와
    리포트 | 2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6.30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1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