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는 감정이 우리의 사회적 삶과 상호작용에서 어떻게 작용하며, 또 그것은 사회의 변화를 촉진하거나 지체시키는 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주목한 책이다. 두 저자 박형신과 정수남은 감정을 거시적 차원에서 다룰 수 있는 이론적·방법론적 가능성을 모색해온...
사회를 움직이는 동력은 이성인가? 감정인가? 저자에 따르면, 적어도 지금까지의 사회학에서 주된 관심은 베버의 합리성과 탈콧 파슨스의 ‘감정 제거’ 작업 등의 시대적 배경을 거치면서 이성에 무게가 쏠린 듯했다. 사회학은 근대 세계의 합리성에 토대하여 성립했고, 사회현상을 이성과 합리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방향에 집중하였다. 이에 반해 감정은 개인적이고 비합리적 요소로 여겨졌고, 인간은 감정을 이성에 의해 통제할 때야 비로소 합리적인 존재가 될 수 있었다. 또한 감정 그 자체의 예측불가성과 측정에서의 어려움에 의해, 사회학적 감정에 대한 논의는 주변부로 밀려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현대사회를 들여다보면, 기존의 이성, 합리성 중심 사고만으로는 명쾌하게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을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다. 코로나와 중국에 대한 국내의 공포심 확산, 전국적으로 불길처럼 번진 일본 불매 운동 등의 감정적 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보험과 같은 불안감정을 이용한 상품이 점점 더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이렇듯 인간의 삶과 행동에는 감정이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합리성 중심의 사회학은 이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사회의 감정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켐퍼와 혹실드를 시작으로 학자들은 사회과학과 감정을 연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들의 연구 조류는 감정이 사회적으로 성격을 가지며, 구성되고 맥락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통찰을 제공해 주었다. 하지만 이는 미시적 측면에서 감정의 종속변수적 지위 그 이상을 탐구하지는 못했고, 현실에서 감정에 의해 추동되는 여러 현상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 책의 저자는, 거시적 관점에서 감정을 사회 현상의 원인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거시적 감정사회학’에 주목한다.
저자는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발전, 확장, 재맥락화하여 거시적 감정사회학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를 위해 베버가 방법론적으로 개념적, 분석적으로 연구하기 까다로워 주된 논의의 대상에서 배제한 감정에 대한 사회학적 장치를 정립함으로써 베버의 이해사회학적 방법을 한층 더 발전시키려 시도한다.
‘광우병 파동’, ‘세월호 참사’, ‘메르스 사태’, ‘한일 위안부 합의’ 그리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까지 최근 우리사회에서 사회적으로 파장이 컸던 사건들이 전개된 양상을 보면, 그 중심에는 국민들의 ‘감정’이 자리잡고 있다. 대중매체들은 실제 사건들의 적법성, 사실관계보다도 국민들의 감정 표출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했고, 국민들도 자신들이 느끼는 감정을 중심으로 사건들을 파악하고 이해하였다. 안타까운 점은 그 결과 한국사회에서 대다수의 사회적 사건들이 정부에 대한 불신과 그로 인한 공포의 심화로 귀결되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감정은 합리성과 이성의 강조 아래 열등하고 억제되어야 하는 요소로 취급 받아왔으나, 바바렛이 말했듯 사회의 그 어떤 행위도 감정적 관여 없이 일어날 수 없다(박형신•정수남, 2015에서 재인용). 감정은 사람들을 행위하게 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키는 동력이 된다. 개개인의 감정이 모여 형성되는 감정적 분위기는 집합감정으로 발전하기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집합 행동이 발생하여 사회구조가 변동하기도 한다. 즉, 감정은 구조와 행위를 매개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간의 사회적 행위에 대한 두꺼운 이해를 위해서 감정은 필수 연구요소이다(박형신•정수남, 2015).
그러나 감정이 사회를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은 지금까지 사회학에서 제시하였던 사회적 메커니즘과 달리 고정되어있지 않고 끊임없이 변동한다. 감정은 다른 감정에 연계되어 나타나기도 하고 개인이 마주하는 사회적 관계, 주위환경에 반응하여 끝없이 변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감정의 변화가 행위의 변화를 가져오므로 감정이 사회에 작동하는 메커니즘은 매우 다양한 것이다.
이에 본 서평에서는 한국사회에서 특히 ‘공포’라는 감정이 다양한 사회적 현상들을 만들어내는 데에 어떻게 작동하였는지 그 메커니즘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국가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한국사회 내의 공포를 더욱 증폭시켰다고 파악한다.
이론으로 설명되지 않는 사회
‘헬조선’. 최근 한국 사회를 설명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다.
지옥이라는 뜻의 영단어 ‘헬(hell)’과 유교 문화가 지배적이었던 수 세기 전의 한국, ‘조선’. 이 이상한 조합의 단어는 급격한 환경의 변화, 가치의 충돌, 계층 갈등 등을 겪으며 혼란에 빠진, ‘이상한’ 한국 사회를 압축적으로 표현하면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인터넷 신조어로서 처음 등장했지만, 요즘엔 신문 기사에도 심심치 않게 실린다. 그런데 단어가 갖는 뉘앙스에는 조금 변화가 생겼다.
초기의 헬조선은 유머가 섞인 자조적인 한탄 정도였으나, 이제 헬조선은 청년들의 무력감과 체념, 그리고 분노가 담긴 단어가 되었다.
이 변화의 흐름은 그동안 직접 느껴온 것이다.
헬조선 사회에서 일자리를 찾아야 할 날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인지, 사회과학을 공부하고 있기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헬조선이라는 주제는 늘 흥미로워서 관련 기사를 접한 적도 많았고 친구들과 이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 적도 많았다. 깊게 파고들면 파고들수록 우리 사회에는 문제가 너무 많고,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것이 느껴져 막막해졌다.
한참 이 사회-그리고 이 사회에서 살아남아야 할 나의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나면 어딘가 가슴이 답답하고, 화가 치밀어 오르는 기분이 들었다.
여태껏 그래도 게으르게 살진 않았다고 생각했는데, 여전히 미래에 대해 보장받은 것은 아무것도 없고 경쟁은 쉼없이 이어진다.
설령 경쟁에서 이긴다고 해도, 모든 것이 불확실한 사회 속에서 완전히 안정적인 삶을 누리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헬조선이라는 단어를 더 이상 유쾌한 블랙코미디 정도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어릴 때 매 년 과학의 날을 맞을 때마다 학교에서 그려댔던, 10년, 20년 뒤의 미래세계에선 누구나 웃고 있었다.
고도로 발달한 기술, 성숙한 시민 의식이 뒷받침하는 안정적이고 평화로운 세계가 찾아올 줄 알았다.
여러 수업에서 사회학 이론에 대해 배우기도 했지만, 이론은 이론일 뿐, ‘그래서 우리 사회가 지금 왜 이렇게 된 건가’라는 나의 근본적인 질문에 답이 되어 주진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