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9일에 시행된 20대 대통령 선거를 기점으로, 문득 우리나라 정부는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어떤 기원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는지 궁금했다. 존 로크가 주장하는 시민 정부론과 우리나라의 정부가 유사한 형태의 정부론을 갖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되어 <시민 정부론>에 관심을 가져 읽게 되었다. “로크의 정부 이론은 1690년에 처음 출간된 이후 줄곧 근대 정치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으며, 근대 자유 민주국가의 개념도 그위 글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내용으로 보아 로크가 주장하는 시민 정부론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양한 많은 국가들에 정치적인 영향을 끼친 것을 볼 수 있다.
존 로크는 근대 17세기에 잉글랜드 왕국에서 활동한 철학자이자 정치가이다.
1. 작가 소개
존 로크 (John Rocke)
1632.08.29. ~ 1704.10.21.
철학자이자 사상가
존 로크는 영국의 철학자이자 정치 사상가, 계몽철학 및 경험론 철학의 창시자이며, 근대 민주주의의 대표적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로크의 젊은 시절에 대한 기록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 그의 아버지는 청교도 혁명 당시 크롬웰의 밑에서 싸운 의회파 군대의 기병대장이었다고 전해진다. 아버지에게서 청교도적 교육을 받은 후, 그는 옥스퍼드 대학에서 수학하고 강사로 활동했다. 그 후 독일에 정부특사로 파견되었다. 그는 섀프츠베리 백작을 위해 일하다가, 그가 관여했던 찰스 2세에 대한 혁명이 실패로 돌아가자 네덜란드로 피신하기도 했다.
네덜란드에서 돌아온 후, 그는 [인간오성론], [관용에 관한 서한], [통치론] 등을 출간하며 활발한 저작활동을 이어가다가 72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현대사회의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정치학자
로크는 민주주의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현대인류사회가 탄생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정치학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 받는다. 이는 그가 홉스의 사회계약론을 바탕으로 주권재민사상, 즉, 국가의 권력이 국민에게 있다는 사상을 확립했기 때문이다.
로크의 사상은 영국과 미국의 정치사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물론이고, 다른 나라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그러나 그의 사상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그의 사상이 홉스의 사상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고 평가받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사실 로크의 사상은 홉스의 사상에 비해 이론적으로 모순되는 부분이 꽤 있고, 정밀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홉스의 사상이 어느 누구에게도 호의를 보이지 않았다면, 로크의 사상은 자본계급에 호의를 보였다. 이 때문에 로크는 홉스의 사상을 논박하는 대신 다른 사상가의 이론을 논박하는 데 집중할 수 있었고, 결국 이러한 약점을 갖게 된 것이다.
존 로크의 시민정부론은 현재까지도 미국을 비롯 많은 나라의 정치적 기초가 되고 있을 정도로 획기적이고 논리적인 주장이다. 로크가 시민정부론을 주장했을 시기는 전근대와 근대의 경계이다. 로크는 이 시기에 근대적 시민권과 이에 기초한 시민의 권력으로 전근대적인 봉건 군주의 절대 권력에 맞서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민정부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당시의 배경부터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존 로크가 살던 시기에는 왕이 하나님으로부터 백성을 지배할 수 있는 신성한 권리를 부여받았다는 왕권신수설이 힘을 얻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688년 제임스 2세가 물러나고 명예혁명을 통해 유혈사태 없이 입헌군주제로써 윌리엄 3세가 새로운 권좌를 차지하게 되면서 찰스 2세의 폭정에 대한 민중의 저항을 정당화하고 윌리엄 왕이 주도한 혁명을 논리적으로 방어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진 것이 바로 시민정부론이다. 로크의 당면과제는 휘그당의 반란을 옹호하고, 제임스 2세의 축출과 윌리엄 부처의 즉위를 둘러싼 정치적 상황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존 로크라는 이름은 다른 사회 사상가들에 비해서 비교적 이름을 많이 들을 수 있었다. 고3때 선택한 시회탐구 과목인 윤리, 법과사회, 정치에 모두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가 얼마나 큰 영향을 후대에 끼쳤는지를 반영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 덕분에 그가 말한 사상에 대해서는 아주 최소한의 기초지식은 가지고서 접할 수 있었다.
그의 책은 단순히 자신의 생각을 알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명예혁명의 정당성을 옹호하기 위해서라는 아주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서 만들어 졌다고 한다. 그래서 당시에 유행했다고 하던 왕권신수설에 대한 반박이 우선 나왔다. 하나님은 인간의 시조에게 세상을 다스릴 권리를 준 적이 없고 주었어도 누가 정당히 계승할지 알 수 없으며 정당히 계승하는 방법이 있어도 지금 그게 누군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