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서른에 읽는 아들러 (내 인생을 살기 위한 심리 수업)

검색어 입력폼
저자
박예진
독후감
2
책소개 세상 앞에 홀로 섰을 때 아들러를 만나야 한다 서툰 감정들을 성숙한 용기로 바꿔 주는 아들러의 말 ★정통 국제아들러학파 한국 대표★ ★대한민국 최고의 아들러 심리 전문가★ ★미국, 일본, 중국, 대만 각국 아들러 협회 추천★ ‘다른 사람들은 저만큼 앞서가는데 왜 나는 점점 뒤처질까.’ ‘나는 왜 남의 시선에 자유롭지 못할까.’ ‘나는 왜 특별히 좋아하는 일도, 잘하는 일도 없을까.’ ‘나는 언제쯤 안정적으로 행복할 수 있을까.’ 서른, 꽤 멋진 어른이 돼 있을 거란 어릴 적의 기대와 달리 마음먹은 만큼 성공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 다른 사람들은 집도 사고 사랑도 하고 행복해 보이는데 나는 감정도, 인간관계도, 미래도 아직 불투명하다. 내 기대가 높은 탓인지, 아니면 능력이 부족한 탓인지 자꾸만 비교하게 된다. 불안하고 조급한 어른아이 서른에게 아들러는 말한다. “산다는 것은 열등감을 느끼는 것이다. 이 열등감을 해결하려는 사람이 뭔가를 이뤄 낸다. 성공은 열등감의 다른 결과다.” 현대 심리학의 3대 거장이자 ‘용기의 메신저’로 불리는 알프레드 아들러는 키가 작고 몸이 약한 유대인이었다. 평생 열등감과 불안을 극복하며 살아온 그는 인생은 스스로 바꿀 수 있다는 선택론적 입장이다. 부족함을 느끼는 순간이 발전의 동기가 된다고 보고, 현재 자신의 모습과 노력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으로 전 세계에 용기를 전파했다. 《서른에 읽는 아들러》는 고군분투하는 서른 무렵의 20대와 30대에게 비교하거나 낙담하지 말고 자신의 긍정적인 면에 집중하길 바란다는 아들러의 격려와 자기 인생을 사는 방법을 담은 책이다. 정통 국제아들러학파의 한국 대표이자 심리 치료사 박예진이 아들러가 남긴 용기의 말과 함께 공감 가는 사례로 우리에게 꼭 필요한 27가지 이야기를 전한다. 이 책을 통해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안으로 지쳐 있는 몸과 마음을 회복하고, 지금의 여건과 환경을 이겨 낼 용기를 기를 수 있다. 세상 앞에 홀로 서 외롭고 막막할 때 아들러가 최고의 조언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길을 격려하고 응원해 줄 것이다.
  • [서른에 읽는 아들러] 인문학심리학 독후감
    [서른에 읽는 아들러] 인문학심리학 독후감
    서른에 읽는 아들러라는 책을 통해서 아들러라는 단어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아들러는 오스트리아의 정신의학자로 개인심리학을 수립하였으며 현대 심리학의 3대 거장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열등감과 불안을 극복하며 살아온 아들러는 인생은 스스로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부족함을 느끼는 순간이 발전의 동기가 될 수 있기에 자신의 모습을 인정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을 하면서 용기를 전파한 인물이었습니다. 아들러라는 인물을 처음 알게 되었지만 그의 철학과 사상 속에 담겨져 있는 격려의 메시지에서 따뜻함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아들러를 알아가면서 책 자체에 대한 흥미가 많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독후감/창작| 2024.02.02| 7 페이지| 2,500원| 조회(22)
  • 베스트셀러 서평_서른에 읽는 아들러를 읽고 나서
    베스트셀러 서평_서른에 읽는 아들러를 읽고 나서
    서른살이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청춘의 용광로인 20대를 넘어 이제부터는 잘 사는 데 온 마음과 힘을 쏟아 붓는 시간이 아닌가 한다. 동시에 사회생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넘어지고, 좌절하고, 조급하고, 불안한 때이기도 하다. 30대가 어른 같아 보였던 나이에는 막연히 서른쯤이면 갖출 것은 갖춘 어른이 돼 있을 거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현실은 어떠한가. 막상 서른이 되면 겉모습만 어른이지 아직도 어리다고 느낀다. 이른 나이부터 성공을 대변하는 대학과 직장, 경제적 자유를 위해 달려왔는데 어째서인지 인생은 부족의 연속인 것이다. 심지어 다른 사람들은 모두 갖고 있는 안정적인 커리어, 좋은 차, 편안한 집, 사랑하는 사람, 행복 중에서 나는 하나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열등감 마저 느끼기도 한다. 이 시대의 수 많은 20대와 30대가 조급하고 불안해 한다. 오늘날에는 특히 더욱 그러한 것 같다. 現시대는 SNS의 범람 등 수 많은 정보가 Open되어 있는 열린 사회이다. 좋은 점도 있지만 그렇기 때문에 남과 비교하기 더욱 쉬운 만큼 자신의 못난 부분을 더욱 크게 느낄 수도 있다. 이러한 열등감이 타인보다 더 우월하고 싶은 마음, 인정받고 싶은 욕구, 스트레스 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열등감은 무조건 느끼지 않는 것이 좋은 것일까. 현대 심리학의 3대 거장이자 <용기의 메신저>로 불리는 알프레드 아들러는 오히려 열등감을 긍정적으로 봤다. 열등감을 발판으로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다고 그는 주장한다. 그렇다. 아들러는 인간은 자신의 인간의 의지가 방해 받을 때 열등감이 생기는데 이 때 자기 발전의 기회가 생긴다고 말한다. 인간에게는 자신의 삶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있으며 그러므로 열등감을 이겨낼 수 있는 삶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열등감을 이겨내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도 커지고 자기자신도 단단해진다는 것이다.
    독후감/창작| 2024.01.27| 9 페이지| 7,500원| 조회(52)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