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위기 이후의 세상이 온다
우리가 우리를 바꿀 때가 되었다”
전환의 시대, 나와 사회와 자연이 함께하기 위한
홍기빈의 경제학 에세이
‘우리는 먹고 자는 시간을 제외한 거의 모든 시간을 경제활동에 쏟아붓지만 왜 삶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을까?’ ‘이렇게 경제생활에 온 힘을 쓰면 쓸수록 왜 허무와 고독과 불안은 더 커져만 갈까?’ ‘뿐만 아니라 생태 위기와 사회적 불평등은 왜 더욱 공고해져만 갈까?’ 저자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는 지난한 과정을 생략하고 결론을 먼저 소개하자면, “경제생활이 우리를 허무와 고독과 불안으로 밀어 넣도록 짜여져 있다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그러한 경제생활의 조직 방식 자체를 바꾸는 일”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학술 서적이 아니다”라는 전제가 이 책의 첫 문장이다. 그러나 책을 읽어 내려가다 보면 이 말이 큰 함정이었음을 어느 순간 깨닫는다. 책을 읽다가 멈춰 서서 감정에 휩싸이고, 자기 삶을 돌아보고, 나와 우리의 미래를 생각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경제학자의 이름과 학문적 논의를 최소화했다고 하지만 사실은 그도 적지 않다. 다만 이것들이 우리의 고민, 우리 경제생활의 문제로 살짝 감싸여 있을 뿐이다. 결국 저자가 말하는 바는 경제학이 아니라 우리가 몸으로 살아내야 할 ‘경제생활’이자 ‘경제활동’이며, 이 책은 결정되지 않은 책, 우리가 함께 써내려가야 할 책인 셈이다.
우리는 먹고 자는 시간을 제외한 거의 모든 시간을 경제활동에 쏟아 붓지만 삶은 좀처럼 개선(改善)되지 않는다. 오히려 허무와 고독만 커져간다. 그 뿐만 아니라 생태 위기와 사회적 불평등은 더욱 심화된다.
저자는 경제생활이 인류를 허무와 고독과 불안으로 밀어 넣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인간이 가장 시급히 해야 할 일은 이러한 경제생활의 조직 방식을 바꾸는 일이라고 말한다.
이 책의 저자이자 정치경제학자인 홍기빈은 대안적 사회의 정치경제 질서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연구에 많은 노력을 들여왔다. 이 책 역시 저자가 현재 인류가 처해 있는 위기 다시 말해 생태 위기와 사회적 불평등이 빠른 속도로 악화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더불어 인류의 삶을 풍요롭게 해야 할 경제생활이 오히려 인류를 허무와 고독과 불안의 늪으로 몰아넣고 있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파국을 보고서도 무기력한 존재, 즉 지구상의 가장 한심한 동물로 전락한 상황이 이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이자 결과물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의 말대로 생태위기와 사회적 불평등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기후위기와 더불어 생물종 다양성 감소, 해양 생태계 위기, 주요 자원의 고갈 등 산업문명이 자연과 생태계의 한계를 침범하는 징후는 넘쳐난다.
이 생태 위기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현재 인류의 경제생활의 틀이다. 또한 생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류의 경제생활의 틀을 완전히 바꾸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류는 20세기와 같이 계속 성장하고, 계속 소비를 늘려갈 수수 없다.
지금까지 더 많은 소비와 더 많은 경제성장은 세계 인류의 절대적인 목표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20세기 후반 이후의 불과 100년도 채 되지 않은 현상에 불구하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경제학의 주된 관심사는 성장이 아닌 균형이었다. 열심히 일하고 근검절약하며 살아간다는 전통적인 윤리를 규범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균형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