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경제학은 어떻게 권력이 되었는가》는 완벽한 합리성과 효율적인 사고방식을 강조하는 경제학적 개념이 경제학을 뛰어넘어 인간의 사고방식과 일상으로 파고들며 우리의 삶과 문화를 바꾸고 타락시켰다고 주장한다. 그 결과 우리는 무임승차를 영리한 행동이라 여기게 되었고, 생명의 가치를 생산성으로...
우리가 타락한 사회적 수준에 걸맞은 정의를 갖게 된 만큼 무임승차는 더 이상 수치스럽고 비열한 행위가 아닌 가장 영리하고 현명한 행동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제한적인 나의 돈과 시간 그리고 노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무임승차만큼 합리적은 결정은 없기 때문이다. 경제학이 퇴화시킨 인간의 인내심 덕분에 먼 미래의 이익보다 당장의 희생은 도저히 견딜 수 없는 것이 되었기에 내가 희생하지 않기 위해 협력보다는 다른 사람을 희생시키고 그것을 발판삼아 내가 한 발자국이라도 먼저 나아가는 것이 경제학 제국시대에 우리가 살아가는 사명이 되었다. 어차피 너와 나는 평등해질 수 없기 때문이다.
1. 본 도서를 선택한 이유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쓸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부분의 국가가 산업활동 위축, 소비감소 등으로 국가적인 경기 부진과 경제 침체의 문제를 겪고 있다. 경제활동의 위축이 국가적으로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삶에도 악영향을 끼치면서 이러한 현상을 이론적,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경제학이 다시금 각광을 받고 있다.
경제학은 인간의 생산, 소비, 저축 등의 활동 뿐만 아니라, 의사결정 등의 측면까지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합리적인 예측을 제시한다는 점을 무기로 비단 학문적인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정치적, 사회적인 영역에서도 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책은 경제이론의 탄생과정과 그 이론들이 현실에서 적용되는 과정에서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를 설명해주는 책이라고 판단되어 관심이 생겼다.
<중 략>
4. 본 도서를 읽고 느낀점
저자에 따르면 사회는 합리성 및 효율성 외에도 다수의 중요한 관념이 있고, 마땅히 중요한 관념을 균형된 관점으로 추구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960년대 시카고 학파 등 자유주의 경제 신봉자들이 경제 이론을 주도하면서 합리성을 기초로 한 효율성이 사회 전반의 많은 의사결정을 좌지우지하는 상황이 되었다. 경제학은 '이론'으로서만 의미가 있고, 실제 생활의 많은 부분을 설명할 수 없고, 설명할 수 있다고 해도 그것이 항상 바람직한 것이 아님에도 경제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이라는 설명이 있으면 거기에 대해서 반박을 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 된 것이 사회 전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