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기록형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쓰는 기록만으로 개인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하며 자신의 삶을 기록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알려주는 책이다. 책에는 철저한 시간 기록을 통해 수많은 업적을 남긴 류비셰프, 63년 동안 일기를 쓰며 위대한 사상가가 된 톨스토이, 이루고 싶은 목표를 기록하고 1,000만...
기록되기 전에는 어떤일도 진짜로 일어난 일이 아니다.
기록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책이다.
기록되지 않은 역사는 거짓이며 훗날 아무것도 남지 않으며 반대로 기록된 과거는 진실로 여겨져 대대로 전해지게 된다. 이순신의 역사는 그의 난중일기가 없었으면 전해지지 않았을 것이라 한다.
첨단기기로 발전된 현대에서도 기록은 중요하다. 현재는 사진을 찍거나 영상을 남기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글은 아직까지도 전달의 도구로서 아직도 건재하다 한다.
또한 독서의 힘은 영상매체처럼 무조건적인 전달이 아니며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창의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오늘날의 학생들은 독서를 게을리하고 짧고 자극적인 사건에만 관심을 가지게 되어 사고하는 능력이 많이 떨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나이를 먹으면서 책 읽기를 점점 멀리하며 40대 이상인 사람도 이제 와서 무슨 책을 읽냐는 둥 많이들 독서를 하지 않는다 한다.
저자는 사람의 일과가 끊임없는 기록이라고 하였다. 뛰어난 문장력이나 형식이 필요한 것도 아니라고 했다. 저자가 말하는 기록은 간단히 메모하는 것이나 글을 적는 행위 자체를 뜻하는 것 같았다. 저자는 기록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면서 뇌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뇌를 언급해놓고 인간의 삶을 어쩌고 버무려서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저자는 글쓰기에 탁월한 학습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생각이 정리되고 지식이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맞는 말이다. 적극 공감한다. 특히 특정 주제에 관한 글을 쓸 때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다 쏟아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는 글쓰기 능력이 학습과 상당히 연관이 깊은데 한국 청소년의 글쓰기 실력이 낮다고 평가했다. 나도 이것을 정말 심각하게 느끼고 있다. 어린 학생들이 책 자체를 읽는 것을 본 적이 없다. 스마트폰이나 그런 것의 영향도 있을 것 같다. 저자는 독서와 글쓰기로 삶의 수준을 높이라고 조언하였다.
이 시대는 기록의 시대라고 불릴 정도로 눈만 뜨면, 수많은 SNS와 신문기사, 칼럼들이 쏟아진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들 속에서 우리들은 공허함 느낀다. 왜 일까? 타인의 수많은 기록, 수박 겉핥기식의 기록들은 무수히 많지만 정작 우리 자신들의 성장을 위한,‘나’의 삶이 새겨진 진정성 있는 기록은 없기 때문이다.
저자는 기록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삶의 성장을 추구하는 길을 알려준다. 즉 기록은 인생의 행복을 향한 도구라는 것이다. <기록형 인간>에서는 기록의 중요성과 목적에 따른 다양한 기록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여러 사례들로 이해를 돕는다. 그리고 내용의 중간 중간에 독서와 기록의 긴밀한 상호관계를 강조한다. 저자가 말하는 목적에 따른 기록방법으로는 일상적으로 쓰는 데일리일기 그리고 묵상일기, 업무일기, 시간일기, 비전일기 등 이있으며 좀 더 깊이 텍스트를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