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동림, 복사운동, 민중반란에 대해, 자본주의 맹아론, 경세사상, 임진과 정유왜화를 통해서 본 명 말의 중국적 세계질서에 대해서, 이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동림, 복사 운동에 대해서 먼저 살펴본다면, 명 말의 사회혼란 속에서 황실과 중소 지주층인 사대부들과의 이해가 엇갈리면서 동림당이 활동을 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결국 타도되고, 그 후 하층 신사 층들의 복사운동으로 이어졌는데, 청조가 들어오면서 반청적인 성격으로 청조가 이들을 통제하려고 하였고, 이 와중에 실학이 등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민중반란은 명 말의 황실의 재정압박으로 무자비한 수탈로 인해서 이에 반발하는 민변이 각지에서 일어났다. 전 계층의 반란이 일어났는데, 이는 결국 백련교와 같은 종교들의 발흥을 부추겼고, 결론적으로 이자성과 같은 농민운동의 지도자가 나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