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기독교 교육의 새모델들』은 진정한 생명력(복음)을 불어넣을 수 있는 신앙교육은 앞으로 어떤 방향성과 모양새를갖추어야 할 것인가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본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교수들이 각자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미래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논문을 작성한 것을 모아 엮었다.
Ⅰ. 책 내용 요약
1) “놀이”를 통한 기독교교육 모델
사회의 발전과 함께 교육의 주체와 그 방법들 또한 함께 발전하며 과거 교육의 패러다임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의 교육은 과거와 전통에 근거하여 지식의 내용을 알게 하는 인지적 교육 형태를 띠고 있었다. 교육의 주체는 교사(지도자)였고, 교육 주체의 능력과 목적, 교육계획이 교육의 절대적 변수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오늘의 교육은 학습자의 현실과 미래를 고려하며, 인지적 교육 형태가 아닌 체험적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교육의 주체 역시 수용자(학습자) 중심으로 변하여 학습자의 욕구, 동기유발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이러한 오늘날 교육의 참여적 체험적 패러다임은 교육에서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이 된다. 놀이는 아동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본질과 문화를 아우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놀이는 교육현장에서도 전달의 도구, 교육과정의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놀이의 관점을 가지고 기독교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기독교교육의 여러 현장들이 있다. 어린이 축제예배의 형태, 놀이 형태를 접목한 어린이 제자훈련 프로그램, 극적 요소를 도입한 비블리오드라마 등이 현재 국내에서 놀이를 접목시켜 진행하고 있는 기독교교육의 세 가지 큰 분류로 볼 수 있다.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가 이원화된 과거의 구조를 넘어서서,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가 함께 어우러져 상호 소통이 일어나는 놀이를 통해 새로운 교육모델을 발견할 수 있다. 놀이는 교육의 새로운 파트너요 우리가 진지하게 고려해야할 영역임에 분명하다.
2) “공동체”를 통한 기독교교육 모델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함께 과거 교회와 사회를 주도하였던 기초들이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개인주의가 팽배해지고 이 개인주의는 자기밖에 모르는 아주 편협한 인간을 만들어 내게 된다.
1. 한국교회 교회학교의 상황 – 새로운 기독교교육 모델이 필요한 현실
⓵ 한국 개신교인 수 변화 추이 – 교인수 감소와 대사회적 신뢰도 하락의 문제
위 표에 따르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던 개신교인의 수가 1995년 이후로 감소 추세로 돌아섰음을 알게 된다. 2010년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 조사한 ‘한국교회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인감소의 원인으로 교회의 대사회적 신뢰도의 하락을 들고 있다. 신뢰도가 감소한 이유로 ‘언론에서 부정적인 내용을 많이 접해서(18.6%)’, ‘언행일치의 모습을 볼 수 없어서(15.6%)’, ‘교인들의 비윤리적 행동 때문(14.9%)’ 등이 주된 신뢰도감소 이유로 응답되었다.
여기서 신뢰도 하락의 이유로 언급된 여러 항목들에 대하여 한마디로 정리하면 세상이 교인들에게서 기대하는 기독교인적인 모습들이 있다는 것이며, 대다수의 개신교인들은 그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말이 된다.
이는 교인들을 향한 신앙교육이 무언가 잘못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지난 백이십 년 이상을 주도해 왔던 ‘교회학교중심’의 기독교교육 모델이 갖고 있는 한계들이 드러나는 지점이 여기에 있다. 많은 교인들이 한계를 드러낸 신앙교육으로 삶과 신앙이 괴리된 모습을 보이고, 이는 교회에 대한 사회의 신뢰를 떨어뜨리며, 이것이 교인수의 감소로 이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교회학교 기독교교육의 문제점을 인정하면서 새로운 신앙교육 모델들을 연구하고 제시하며 적용할 필요를 가진다.
⓶ 출산율 저하에 따른 연령별 인구분포의 변화 – 교회학교 인원감소의 문제
지난 2010년 유엔인구기금이 발표한 세계인구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합계 출산율은 전 세계 186개국 중 184위로 나타났다. 185위는 유럽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장기간 내전 때문에 정상적인 국가로 보기 어렵고, 186위인 홍콩은 국가라기보다는 하나의 대도시이기 때문에 세계 최저 출산율 국가는 우리나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