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 화성병점동과 수기리, 하남 광암동유적에서 조사되었으며, 유적의 위치가 한반도의 중간지대에 자리하고 있어 지리적으로 점이적인 특성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런 유형은 탁자식 고인 ... 의 형식 변천 과정과 관련시켜 볼 때 탁자식에서 개석식으로 변화되는 점이지대가 바로 구릉지대일 가능성이 있어 주목된다.오산 외삼미동, 화성병점동과 수기리의 이러한 고인돌은 안성천 ... 돌에서 개석식으로 형식이 변천되는 과도기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구조적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변형 탁자식 고인돌은 한 곳에 개석식과 함께 있어 당시 사람들이 축조할 때 택지
탁자식에서 개석식(또는 바둑판식)으로의 변천 문제를 추론해 볼 수 있다.덮개돌 밑에 길쭉한 판자돌이 뉘여 있는 변형 탁자식 고인돌이 오산 외삼미동, 하남 광암동, 화성병점동 ... 이 글은 경기지역의 고인돌 유적을 조사한 성과를 토대로 구조적인 몇 가지 특이한 점을 분석한 것이다.탁자식과 개석식이 결합된 안산 선부동 가-1호 고인돌은 무덤방이 서로 연결 ... 이외에도 평택 양교리와 안양 신촌 고인돌 유적에서 조사되었다. 이런 고인돌은 위치하는 입지가 구릉 끝자락이고 덮개돌의 형태가 길쭉한 모양(blade-shape)이라는 공통점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