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토피아를 위한 생명의 절규- 박경리의 『가설을 위한 망상』(나남, 2007),『우리들의 시간』,(나남, 2000)1. 생태시학에 대하여근대 이성중심의 시대가 발현된 이후 기술 ... 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 된다. 그러므로 생태시 전반의 비평적 논의를 총칭하는 생태시학은 최근 50년 이내에 자연 환경의 황폐화가 진행되기 시작하면서부터 생태에 대한 사회적, 정치 ... 한 유기론적 생명체들의 생존권을 보호하고 능동적이고 자생적인 생태관을 회복하여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세계(ecotopia)를 추구해야 하는 것이 생태시학(ecopoetics)을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