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추정되는 고창 봉덕리 식리에서는 중국 북조지역 귀갑문과 유사한 문양들이 나타나고 있어 북조의 직접적인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백제의 귀갑문은 북조에서 직접 ... 되었고, 백제를 비롯하여 고구려, 신라 등으로 전래되는 등 고대 한국에 큰 영향을 끼쳤다.백제의 귀갑문은 서산 부장리 출토 금동관과 식리에서 보듯 5세기 중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중국 ... 에서 출토 예가 없는 금동식리에 귀갑문이 채용된 것으로 보아 백제 공예품의 문양요소로 자리 잡은 것이 확실하다.당시 백제의 대중교섭은 대부분이 남조에 의존하여 이루어진 상황을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