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契(계) 등이, 絜은 潔(결)의 성부가, 挈은 (체)의 성부가 된다. 契는 瘛(계), (체), 楔(설), (계), 喫(끽), 偰(설), 䫔(혜), 鍥(계), 猰(알 ... ‘丯(개)’의 자원에 대해 許愼은 ‘풀이 헝크러진 모양’을 그려 ‘산란하다.’란 뜻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하지만 于省吾는 ‘새기다(契)’가 本義라고 하였다. 古代에 문자가 생기 ... 기 이전, 사람들은 나무에 저미는 방식으로 記事를 하였다. 이를 본뜬 모습이 ‘丯()’이다. 丯는 㓞, 栔, 契, 鍥 등으로 孶乳되었다. 㓞는 표식을 위한 도구 칼(刀)을, 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