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보살계본종요초(菩薩戒本宗要抄)』라는 문헌에 주목하였다. 『종요초』의 문헌적 의의는 세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 도봉의 서문 ... 론』의 주석서일 것이다. 이것을 제외하면 태현(太賢)의 저술에 대한 주석서가 가장 많다. 태현의 저술 가운데, 『광석본모송(廣釋本母頌)』, 『보살계본종요(菩薩戒本宗要)』, 『범망 ... 은 『보살계본종요』 그리고 『범망경고적기』에 대해서는 약 56종에 이르는 일본의 주석서가 있다. 이 가운데 본고에서는 중국과 일본에서 주목된 『보살계본종요』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