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921)
  • 리포트(890)
  • 시험자료(20)
  • 논문(5)
  • 방송통신대(5)
  • 자기소개서(1)

"본초강목" 검색결과 121-140 / 921건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 본초강목序例第二卷 장자화한토하삼법
    序例第二卷본초강목서례 제 2권陳藏器諸虛用藥凡例진장기 제허용약 범례夫衆病積聚,皆起于虛也,虛生百病。여러 병과 적취는 모두 허증에서 일어나니 허가 모든 병을 생성한다.積者五臟之所積;적 ... 不足,加 (朱砂、預知子、茯神。)정신이 혼란하여 부족하면 주사여지자, 복신을 가미한다.序例第二卷 張子和汗吐下三法본초강목 서례 제 2권 장자화 발한 구토 사하의 3법人身不過表裡,氣血不過 ... 。본초에서 고찰하면 구토약은 고미 한기이니 과체, 치자, 차가루, 두시, 황련, 고삼, 대황, 황금이다.辛苦而寒者,常山、藜蘆、鬱金;신고미로 한기이면 상산, 여로, 울금이다.甘而寒
    리포트 | 10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7.02.11
  • 본초강목서례 各經主治 발산 마황 양척촉
    【各經主治】각 경락의 주치藁本(手太陽。)고본 수태양경락羌活(足太陽。)강활 족태양경락白芷 (手陽明)백지 수양명경락葛根 (足陽明)갈근 족양명경락黃?(手少陽。)황기 수소양경락柴胡(足少陽。)시호 족소양경락防風 (手太陰)방풍 수태음경락獨活(足少陰。)독활 족소음경락芎?(手足厥陰。..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2.14
  • 본초강목 石部第九卷 수은 석명 기미 주치 발명 부방
    의별록), 홍(수은과 같다.), 영액(본초강목), 차녀(약성)(時珍曰?其狀如水似銀,故名水銀。 ?者,流動貌。)이시진이 말하길 수은은 모양이 물과 같고 은과 유사하므로 수은이라고 이름 ... 다.(權曰?有大毒。)견권이 말하길 수은은 매우 독이 있다고 했다.(大明曰?無毒。)대명본초에 수은은 독이 없다고 했다.(之才曰?畏磁石、砒霜。)서지재가 말하길 수은은 자석, 비상을 두려워 ... 大明言其無毒,《本經》言其久服神仙,甄權言其還丹元母,《抱朴子》以爲長生之藥。)대명본초에는 수은이 독이 없다고 하고 신농본초경은 오래 복용하면 신선이 된다고 하며, 견권은 수은이 환단하
    리포트 | 1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8.04.09
  • 이시진 본초강목 木部第三十四卷목부 34권 목록 백잣나무
    1종 송나라때 사람 대명《證類本草》一種(宋 唐?微)증류본초 1종 송나라 당신미《本草補遺》一種 (元 朱震亨)본초보유 1종 원나라 주진형《本草綱目》二十一種 (明 李時珍)본초강목 21종 ... 彙。차고 따듯함과 독이 좋음은 직접 고찰하여 모았다.多識其名,奚止讀詩。많이 이름을 아니 어찌 시만 읽겠는가??)以本草,益?其知。본초를 더욱 지혜를 열어 준다.乃肆搜)獵,萃而類之 ... 拾遺》 三十九種 (唐 陳藏器)본초습유는 39종류 당나라 진장기《海藥本草》 五種(唐 李珣)해약본초 5종 당나라 이순《蜀本草》一種(蜀 韓保升)촉본초 1종 촉나라 한보승《開寶本草》一十五種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9.05.07
  • [한의학]본초강목 옹저 人部인부 대침 궤양 초부
    〔人部〕사람부분人唾사람침(?塗腫。)인타를 종기에 바른다.人屎사람똥(一切癰腫未潰,?末,入麝,調貼頭上;背發欲死,燒和醋塗。)인시는 일체 옹종이 아직 궤멸하지 않음에 갈아 가루내어 사향을 넣고 머리위에 석어 붙인다. 등의 옹저 발생으로 죽을 듯함에 태워 식초와 섞어서 바른다...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7.31
  • [의학약학]본초강목 구루 곡초穀草 과목 화토 금석 충개
    〔穀草〕곡식과 채소麥?보릿가루(和鹽,炒塗。)맥면을 소금과 함께 볶아서 바른다.苦瓠고호蕎麥灰메밀재(煎洗。)교맥회를 달여 씻는다.[果木]과일나무桃花도화大腹皮대복피楸葉개오동나무잎(熬膏神方.)추엽을 달인 고는 귀신같은 처방이다.?)枝버들가지(燒熏.)유지를 태워 훈증한다.?根鬚..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7.29
  • 본초강목 단독 菜木채목 금석 개부 금부 외도
    〔菜木〕채소와 나무馬齒?마치현(汁服。)마치현 즙을 복용한다.蕓?汁운대즙(服,?敷。)운대즙을 복용하고 또 바른다.?布汁청포즙梔子치자黃柏황백?木香청목향?舌香계설향桂心계심枳殼지각茯?복령竹瀝죽력〔金石〕금속과 돌生鐵생철(燒,?水服。)생철을 태워 물에 식혀 물로 복용한다.生銀생은..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7.28
  • 본초강목 회유回乳 단산음병 음한 음취 음종 음양
    【回乳】젖을 돌게 함神麴신국(?後無子?乳,欲回轉者,炒?,酒服二錢,此李瀕湖自製神方也。)신국은 산후에 자식이 먹을 젖이 없을때 돌아 나오게 하니 볶아 갈아서 술로 8g을 복용하니 이는 이시진이 스스로 만든 귀신같은 처방이라고 한다.大麥보리(炒?,白湯服二錢。)대맥은 볶아 갈..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8.26
  • [의학약학]본초강목 果木과목 복기 구설 설창 초곡 목기
    〔果木〕과일나무檳?빈랑(燒。)빈랑을 태운다.?皮청피竹瀝죽력(和黃連、黃丹、黃柏 塗。)죽력을 황련, 황단, 황백과 함께 바른다.白楊枝백양가지(燒。)백양지를 태운다.?舌香계설향梓白皮재백피〔服器〕복식과 그릇?布청색 베(燒塗。)청포를 태워 바른다.木履尾목리미(?,柱兩吻,二七次。..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7.17
  • [한의학]본초강목 궤양 곡채穀菜 과목 금석
    [穀菜]곡식과 채소胡麻참깨(炒黑.)호마를 볶아서 검게 한다.?大麥청보리(炒。)청대맥을 볶는다.絲瓜汁사과락즙(抹,?斂瘡口。)사과즙을 비벼서 창구를 수렴케 한다.爛茄썩은 가지(酒服。)난가를 술로 복용 한다.〔果木〕과일나무烏梅오매(蝕惡瘡弩肉,燒點 甚良。)오매는 악창과 노육을..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8.01
  • 본초강목 개선 介鱗개린 금수 열창 초부 곡채 과목
    [介鱗]갑개와 비늘동물蚌粉씹조개가루(?塗疥癬濕瘡.)방분은 개선과 습창에 바른다.?魚가물치(釀蒼耳 淡煮食.)예어를 창이에 술을 빚어서 담백하게 달여 먹는다.?)魚肝철갑상어간(炙食.)전어간을 구워 먹는다.河豚子肝민물복어 간(同蜈蚣 燒,?疥瘡。)하돈자간은 지네와 함께 태워서..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8.07
  • 본초강목 금수禽獸 영류우지 내치 초부 채곡 과목 토석
    〔禽獸〕금수丹?冠血、翅下血붉은 닭벼슬, 날개아래피(塗。)단계관혈 시하혈을 바른다.驢尿당나귀오줌(和薑汁洗。)여뇨를 생강즙과 함께 씻는다.諸朽骨여러 썩은 뼈(磨醋 塗之。)제후골을 갈아 식초로 바른다.馬尿말오줌(洗赤疵,日四五度。)마뇨를 적자를 씻길 하루에 4~5번 한다.白馬..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7.29
  • 본초강목 발락 금수禽獸 발백 초채곡부 과목 금석
    〔禽獸〕금수雁骨灰기러기뼈재(?沐頭,長髮。)안골회를 머리를 감으면 모발을 자라게 한다.?子白계란흰자猪膽돼지담(沐頭解?.)저담을 머리를 감으면 끈끈함을 풀어준다.雁肪기러기 기름?脂메추라기 기름?脂닭 기름猪?)膏돼지갈기기름熊脂及腦곰기름과 뇌(?沐頭,生髮。)웅지와 웅뇌를 함께..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7.27
  • [의학약학]본초강목 蟲部충부 금수 유옹 초부
    〔蟲部〕벌레부분蜜蠟 蟲白蠟 紫?밀랍, 충백랍, 자광(?生肌、止痛、斂口。)밀랍, 충백랍, 자광은 새살을 나게 진통하고 창구를 수렴케 한다.桑??상표초(燒,塗軟癤。)상표초를 태워서 연절에 바른다.全?전갈(諸腫,同梔子 煎油,入蠟,貼之。)전갈은 여러 종기에 치자와 함께 달인 ..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8.01
  • 본초강목 풍소진비 外治 비진 내치 초곡 목린
    【外治】외치白芷백지浮萍부평槐枝괴화가지鹽湯소금탕吳茱萸오수유(煎酒。)오수유를 달여 술로 복용한다.楮枝葉 蠶砂닥나무가지잎, 잠사(?洗浴。)저지엽, 잠사를 함께 씻고 목욕한다.景天汁 石南汁 枳實汁 芒硝湯 礬湯경천즙 석남즙 지실즙 망초탕 반탕(?拭磨.)경천즙, 석남즙, 지실즙,..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7.28
  • 본초강목 蟲部충부 인개 금수 음성 사열 초부 곡부
    〔蟲部〕충부天漿子천장자(?含咽。)천장자를 함께 머금어 삼킨다.白?蠶백강잠(喉痺欲死,薑汁調灌。或加南星,加石膽,加白礬,加甘草,加蜂房。同乳香燒烟熏。)백강잠은 후비로 죽을듯함에 생강즙을 섞어서 관주한다. 혹은 남성을 가미하고, 석담을 더하고, 백반을 더하고, 벌집을 더한다. ..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7.21
  • [한의학]본초강목 蟲獸충수 호취 내치 외치 초곡
    〔蟲獸〕벌레와 들짐승五倍子오배자(炒,同赤銅屑諸藥,爲染鬚神方。)오배자를 볶아서 적색구리가루 여러약과 함께 수염을 염색하는 귀신같은 방법이 된다.百藥煎백약전水蛭거머리(同龜尿 撚鬚,自黑。)수지를 거북이 소변과 함께 수염을 비틀음에 저절로 검어진다.蝸牛달팽이(同京墨,埋馬屎中,..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7.27
  • [의학약학]본초강목 瘢痕반흔 면창 초부 곡채과목
    【瘢痕】반흔?藜질려(洗。)질려로 반흔을 씻는다.葵子규자(塗。)규자를 반흔에 바른다.馬齒?마치현(洗。)마치현으로 반흔을 씻는다.大麥보리(和?敷。秋冬用小麥?)。)대맥을 연유와 섞어서 붙인다. 가을과 겨울 반흔에는 밀과 보릿가루를 사용한다.寒食飯한식 밥(塗。)한식반을 반흔에..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7.17
  • [의학약학]본초강목 蟲獸 채과 목석 금수 보허 초부
    〔蟲獸〕벌레와 들짐승蠶砂잠사(浸酒。)잠사는 술에 담근다.蝎梢전갈마디(肝風。)갈초는 간풍을 치료한다.?蚓지렁이(脚風 宜用。)구인은 각풍에 의당 사용한다.穿山甲천산갑(風痺 疼痛,引經 通竅。)천산갑은 풍비 동통에 경락을 당겨서 구멍을 소통케 한다.守宮수궁(通經絡,入血分。歷節..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6.10
  • 본초강목 蟲獸 협허 음퇴 외치 통풍 풍한 풍습 초목
    〔蟲獸〕벌레와 들짐승斑?)반묘(小腸氣,棗包?食。)반묘는 소장기에 대추로 싸서 불에 구워 먹는다.?靑 地膽 桑?? 雀糞 五靈脂원청 지담 상표초 참새똥 오령지(疝?。)원청 지담 상표초 참새똥 오령지는 산하를 주치한다.?皮고슴도치 가죽(疝積 燒灰 酒服.)위피는 산기와 적에 ..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6.10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