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듣기교육의 이론과 실제
- 최초 등록일
- 2009.04.08
- 최종 저작일
- 2008.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국어 듣기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많은 시간을 들여 상세하고 깔끔하게 정리해 놓았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목차
1. 머리말
2. 듣기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3. 실생활에서의 한국어 듣기
3.1. 한국어 구어의 특성
3.2. 한국어 듣기의 이해과정
4. 한국어 듣기 학습의 특징과 교수법
4.1. 한국어 듣기 능력
4.2. 한국어 듣기 전략
4.3. 교실에서의 한국어 듣기 활동
4.3.1. 한국어 듣기 교육의 원리
4.3.2. 한국어 듣기 담화의 유형
4.3.3. 한국어 듣기 수업 구성
4.3.4. 한국어 듣기 교육의 문제점과 제안
5. 맺음말
본문내용
4.3. 교실에서의 한국어 듣기 활동
4.3.1. 한국어 듣기 교육의 원리
첫째, 학습자를 동기화시켜야 한다. 의사소통 상황에서 듣기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수업에 학습자의 필요와 흥미를 반영할 때, 학습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종류의 듣기 경험을 갖게 한다. 듣기 행위는 친구와의 대화에서부터 뉴스 듣기, 강의 듣기, 안내 방송 듣기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학습자들은 이 같은 다양한 듣기 경험을 통해 자신의 듣기 기능을 듣는 목적에 맞추는 훈련을 해야 한다.
셋째, 실제 상황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듣기 교육은 단순한 듣기 연습에 그치지 않고 실제 생활에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실 환경에서 실제 상황에서 접하게 될 듣기에 대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교사는 여러 목적, 여러 상황에서의 듣기에 적합한 듣기 기능과 지도 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넷째, 한국어의 구어적 특성을 알게 한다. 우리가 모국어로 듣기를 수행하게 되는 현장은 주변 소음과 중복, 축약과 생략, 방언, 관용어, 은어 등의 요소들이 혼재한다.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들을 때 접하게 되는 이런 요소들은 부가 정보로서 기능하기보다는 듣기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가 된다.
다섯째, 배경지식을 활성화시킨다.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선험적 지식과 배경지식을 동원하여 듣도록 한다. 선험적 지식과 배경 지식은 듣는 내용을 최소한의 문맥, 단어 혹은 실마리만으로도 필요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자는 언어 지식이 부족하여 배경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성화할 수 없으며, 더욱 언어지식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순환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여섯째, 듣기 수행에 대한 피드백이 제공되어야 한다. 학습자들이 듣기를 수행하는 동안 교사는 세심한 관찰자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학습자의 수행이 끝났을 때, 그 수행 과정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야 한다. 교사의 피드백은 학습자다 자신의 현재 상태에 대해 지각하게 하고 다음 목표를 세울 수 있게 돕는다.
일곱째, 듣기가 듣고 이해하는 차원에서 머무르지 않도록 다른 언어 능력의 배양과 연계시켜 지도해야 한다. 듣기는 말하기와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다. 듣는 능력은 말하기 능력의 기초가 되며, 말하기에 주는 듣기 능력의 학습 전이 기능은 학습자가 내용 뿐만 아니라 형식(언어 구조)을 들을 때 극대화 된다.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 / 허용 외
이외 많은 책을 참고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