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투어리즘][에코][관광농원]그린투어리즘(에코, 관광농원)의 개념과 역사, 그린투어리즘(에코, 관광농원)의 실태와 문제점, 그린투어리즘(에코, 관광농원) 사례, 그린투어리즘(에코, 관광농원) 활성화 전략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9.04.08
- 최종 저작일
- 2009.04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그린투어리즘(에코, 관광농원)의 개념과 역사, 그린투어리즘(에코, 관광농원)의 실태와 문제점, 그린투어리즘(에코, 관광농원)의 사례, 그린투어리즘(에코, 관광농원)의 활성화 전략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그린투어리즘(에코투어리즘, 관광농원)의 개념과 역사
Ⅲ. 그린투어리즘(에코투어리즘, 관광농원)의 실태와 문제점
1. 그린투어(관광농원)의 실태
2. 그린투어(관광농원)의 문제점
1) 운영상의 문제점
2) 제도적인 문제점
Ⅳ. 그린투어리즘(에코투어리즘, 관광농원)의 사례
1. 일본
1) 유휴농지와 과수재배를 활용한 사가에시
2) 지역 가공산업에 자연과 건강을 접목한 나카노조
3) 숲을 지켜 그린투어리즘에 성공한 일본 아야정 마을
2. 독일 - 가족 농장체험 프로그램으로 성공한 독일 라우터바흐 마을
3. 스코틀랜드 - 낡은 방앗간을 역사문화 학습장으로 활용한 스코틀랜드 알디마을
Ⅴ. 그린투어리즘(에코투어리즘, 관광농원)의 활성화 전략
1. 지역자원과 관광농업을 결합한 홍보전략
2. 지역 이벤트와 관광농원의 연계를 통한 내실화 전략
3. 농촌지역·농촌문화의 특성화 전략
4. 지역의 상징적인 쇼핑상품의 개발전략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에서 그린 투어리즘를 통한 농촌지역 경제활성화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그 도입과정에서 체계적으로 각국의 연구가 선행되지 않았으며 인공적인 대규모 관광개발이 중심이 되는 과정에서 농산물 등을 관광객에게 공급하는 초보단계에 있다. 이는 그린 투어리즘의 공급대상인 농촌지역의 소득증대에 중심을 두었으며 농촌지역에서 관광을 즐기려는 관광객을 중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정책을 보면 1983년의 ꡐ농어촌소득원 개발촉진법ꡑ제정 이후 농촌의 농업 외 소득원을 올리기 위한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였다. 특히 1990년부터 ꡐ농어촌발전 특별법ꡑ이 제정되고 1992년에 ꡐ농어촌관광 휴양자원 개발사업 추진요령ꡑ이후 관광농원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장기체재형의 그린 투어리즘 내용과는 상이하다. 일본의 경우 프랑스·독일과 같은 서구 선진국의 그린 투어리즘에 관한 경위와 현황, 문제점 등을 폭넓게 조사·분석하여 이들 정보와 자료를 바탕으로 그린 투어리즘을 활성화할 수 있었다. 이는 일본의 농업문화와 사회조건, 자연조건, 관광객의 동향 등에 관한 차이를 명확히 분석하여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적용방법을 신중히 검토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일본에 적합한 그린 투어리즘이 형성되었다.
농촌지역은 지역의 과소화와 인구의 고령화, 지역내 수입확보 등을 통한 지역경제활성화의 주요과제 해결을 위해 농업외 소득 확보, 여성과 고령자의 노동장소제공, 농업생산품의 진흥을 위해 농촌지역으로의 휴가여행을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그린 투어리즘은 농촌지역이 주체가 되어 도시지역주민을 불러들여 도시와 농촌의 교류를 추진하는 유형의 그린 투어리즘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는 도시주민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지속적인 노동시간 단축에 의해서 도시생활로부터 벗어나 농촌에서 자연환경과 농업체험을 동반한 체재형의 관광을 제공하는 일이며 농촌지역은 수입증대와 더불어 농촌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성화가
참고 자료
김명수, 농산촌에 있어서 그린투어리즘의 전개를 위한 농촌지역 주민과 도시민의 의식조사
강신겸(2001), 여가시간 확대와 농촌관광의 새로운 가능성
김범수(2001), 한국형 그린 투어리즘에 관한 연구, 관광농업연구 제8권 2호
남동욱, 그린투어리즘의 실태 및 이용자 평가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농촌테마마을을 대상으로, 금오공대 대학원
김범수(1999), 일본의 그린 투어리즘, 산림휴양연구
류선무 외(2001), 그린투어리즘(Green-Tourism)의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관광농업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이호철(2000), 그린투어리즘에 의한 지역사회개발 방안, 농촌사회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