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레포트와 이 레포트의 차이점은
바이러스 종류를 발병 경과의 관점에서 분류 한 것입니다.
목차
바이러스의 역사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차이점
바이러스의 종류(발병.경과의 관점)
본문내용
바이러스의 역사
17세기 중반경 레벤후크(1632~1723)는 수제(手製)의 현미경을 사용하여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세균이나 원생동물(원충) 등의 미생물의 세계를 발견하였다. 그는 렌즈를 자기 자신이 갈아서 손수 현미경을 제작하였으며, 썩은 육즙(肉汁)의 추출물, 발효한 우유나 엿기름 액에서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1796년에 영국의 E. Jenner는 소의 마마로부터 vaccinia virus를 얻어 이를 다른 사람에게 접종함으로서 (종두법, vaccination) 천연두 (small pox)를 예방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서 현재 천연두의 감염으로부터 인류를 구할 수 있게 된 사건이 있었다. 이는 바이러스라는 것이 확인되기 이전에도 바이러스에 관련된 중요한 사건이었다. 그 후, 1881년에 프랑스의 유명한 미생물학자인 Pasteur는 광견병 바이러스 (rabies virus)를 동물에 접종하여 광견병바이러스를 증식시킬 수 있게됨으로서 바이러스 연구 및 예방에 대한 일대 전기를 마련하였다.
19세기의 후반에 마이어는 담뱃잎에 모자이크모양의 병반(病斑)을 일으키는 병이 그 잎의 짜낸 즙액에 의해서 전염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1886년). 그는 그 병의 원인이 담뱃잎의 짜낸 즙액에 존재하는 세균에 의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1890년,러시아의 이와노브스키는 담뱃잎의 짜낸 즙액을 초벌구이의 여과기를 통과시켜 그 감염성을 조사한 결과 감염성이 여액(濾液)에 그대로 남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흔히 초벌구이 여과기를 사용하면 세균은 제거된다. 그러므로 그 결과는 감염성을 지니는 세균보다도 더 작은 생물의 존재를 믿을 수 없었으므로 세균에 의한 오염이거나 독소와 같은 것에 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1898년, 네덜란드의 식물학자 베이어링크에 의해서 담배모자이크병은 초벌구이 여과기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며 자기 증식능력을 갖는 생물에 의해서 야기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그는 그것을 라틴어로 contagium viium fluidum(생명을 지닌 감염색체 )으로 명명하였다. 그리하여 그 후 일반적으로 바이러스(virus)라고 불리게 되었다. 바이러스는 라틴어로는 본래 `독`을 의미하는 낱말이다. 이것이 담배모자이크병 바이러스(TMV)의 최초의 발견이다. 그것과는 독립적으로 1898년 레후렐과 프로슈가 소의 구제역(FMD)이라는 전염병의 수포액이 초벌구이 여과기를 통과한 액중에 그 병원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의 연구가 바이러스의 최초의 발견으로서 자리잡게 하였다. 그 후, 황열 ․광견병 ․우두 등의 전염병과 담배모자이크병 등에 같은 식물의 전염병 바이러스가 다수 발견되어 모두 같은 성질을 가졌다는 것이 알려졌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