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농약 중독의 경로
2. 중독 증상 관찰
3. 중독에 한 응급조치
4. 농약종류별 중독증상과 치료
-유기인계(organophosphates)
-카바메이트계
-파라쿼트(그라목손)
5. 그 밖의 약물중독
-산과 알카리
-아세트아미노펜
-벤조디아제핀계
-아스피린계
-일산화 탄소중독
본문내용
* Drug intoxication 환자의 처리
1. 먼저 ABC 부터 확보.
2. Hx, P/Ex, Lab(routine lab + ABGA + EKG)
- Hx : 언제, 어디서, 무슨 약물을, 얼마나, 왜?
누가 언제쯤 발견했으며 주변 상황(약, 약봉지, 유서, 구토물, 용기)은?
함께 복용한 약물이나, 알코올 등이 있었는지, 식전인지 식후인지
복용 후 어떠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환자 자신이나 목격자에 의해 어떠한 처치가 행해졌는가?
환자의 과거력(정신과 병력)은 어떠한가?
3. 섭취 약물의 흡수 억제(Gastric lavage, 흡착제(Charcoal))
# Gastric lavage
1) 구토 시에 Aspiration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를 좌측횡와로 눕힌다. 의식의 저하되어 있거나 구역 반사가 소실된 환자에서 기도를 보호할 필요성이 있을 때는 위세척을 하기 전에 기관 내 삽관을 먼저 시행한다.
2) 수돗물 혹은 생리 식염수를 성인에서는 한번에 200-250mL. 5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50-100mL가 넘지 않는 양으로 주입한다. 위세척은 최소 2L를 시행하며 깨끗한 물이 나올 때까지 계속한다.
# Gastric lavage 금기증
1) 부식성이 강한 강산 혹은 알칼리 섭취
2) 뾰족한 물체를 같이 삼켰을 때
3) 구역반사가 정상이고 의식이 명료한 환자에서 전신상태가 급격히 악화되는 환자
4) 약물이 거의 모두 흡수된 것으로 생각될 때(대부분의 경우에서 음독 후 6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는 시행 안 함)
#활성탄
-거의 모든 중독 환자에서 적응증이 되며, 용량은 보통 1g/kg로 물(성인 : 약 200cc)과 MgO 3T를 섞어 먹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