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감정][지역갈등]지역감정(지역갈등)의 역사적 배경,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사회문화적 배경,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실상,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심화와 그 피해, 지역감정(지역갈등) 해소를 위한 대책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9.03.20
- 최종 저작일
- 2009.03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역사적 배경,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사회문화적 배경,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실상,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심화와 그 피해, 지역감정(지역갈등) 해소를 위한 대책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역사적 배경
1. 삼국정립 이전시대
2. 삼국정립시대
3. 통일신라시대
4. 고려시대
5. 조선시대
6. 일제시대에서 제2공화국까지
Ⅲ.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사회·문화적 배경
Ⅳ.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실상
Ⅴ.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심화와 그 피해
1. 지역감정은 국민의 저능화를 초래한다
2. 지역감정은 사회정의를 쓰레기로 만들어 버린다
3. 지역감정은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연고주의를 확산 시키고 강화시킨다
4. 지역감정은 정치를 죽이고 그 당연한 귀결고 민주주의를 죽인다
5. 지역감정은 정책적 이슈를 사라지게 만든다
6. 지역감정은 정책의 정략적 왜곡을 밥 먹듯이 저지르게 만든다
7. 지역감정은 국가의 균형발전을 저해한다
Ⅵ. 지역감정(지역갈등) 해소를 위한 대책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지역감정에 대한 구체적 정의는 조경근에 의해 제일 먼저 시도되었다. 그는 지역감정을 지연에 기초해 형성된 여타 지역인에 대한 부정적이고 편견적인 속성의 심리상태라고 정의했다. 특히 영·호남지역간의 지역감정은 개인이 자신을 영남(인), 혹은 호남(인)에 동일화시킴으로써 상대측에 대하여 가지는 부정적, 편견적 속성의 심리 상태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이 정의는 무엇보다도 지역감정의 인지적 속성인 편견과 심리상태를 강조한 것이다. 또 김진국은 지역적 연고에 따라 구분되어지는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집단 적대감을 지역감정이라고 정의했다. 후자는 전자의 감정적인 편견에 덧붙여 그 행동적이고 인지적인 요소인 지역갈등까지 포괄한다고 보아 현실적으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지역감정의 정의에 더 가깝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집단 적대감은 다음의 세 가지를 구성요소로 한다. 첫째는 고정관념이라는 집단 적대감의 인지적 요소이고, 둘째는 편견이라는 집단 적대감의 감정적 요소이며, 셋째는 차별이라고 하는 집단 적대감의 행동적 요소이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여기서는 지역감정이란 지역적인 내외집단의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상대 지역민에게 공격적, 차별적 태도나 행위로 나타날 수 있는 감정상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Ⅱ. 지역감정(지역갈등)의 역사적 배경
1. 삼국정립 이전시대
주 생활무대가 구릉지였던 청동기인은 농경에 크게 의존하였고, 청동기를 사용하면서부터 부족의 내부에서 사회적 분열이 야기되어 지배 씨족의 족장이 권력자로 등장해 성읍국가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성읍국가의 지배자들은 청동 무기를 사용하여 다른 성읍국가를 정복하려 했기 때문에 정치적 사회가 만들어졌다.
북쪽 송화강 유역의 부여, 압록강 중류지역의 예맥, 요하와 대동강 유역의 고조선, 동해안 함흥평야의 암둔, 황해도 지방의 진번, 그리고 한강 이남의 진국 등이 그러한 것들이다. 이와 같은 국가의 이름들은 한만족의 지역화된 호칭에 불과하므로 한민족은 그 형성단계에서부터 단일성을 지니고 있다 하겠다.
참고 자료
1. 남영신, 지역패권주의연구, 학민사, 1993
2. 문석남, 지역격차와 지역갈등에 관한 연구, 영호남 두 지역을 중심으로, 1984
3. 유석춘, 한국의 사회발전, 변혁운동과 지역주의, 전통과 현대, 2002
4. 장금환, 지역감정, 그 잘못된 진상을 밝힌다, 참누리
5. 허언욱, 한국지역갈등의 원인에 관한 연구, 1988
6.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 지역갈등연구, 나남출판, 1989
7. 홍성웅, 한국경제성장에 나타난 지역격차의 원인분석, 민음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