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우리 나라에서의 낙태 - 실태, 원인, 그리고 현황
1. 낙태의 실태
2. 낙태의 원인
3. 우리나라의 낙태 현황
4. 현행 낙태규제법 개정 방향
5. 낙태에 대한 법적용 현황과 판례
6. 소결
Ⅴ. 낙태죄에 대한 논쟁 - 낙태죄 존폐론
1. 낙태죄 존폐론의 변천
2. 존치론
3. 폐지론
4. 낙태죄 존폐에 대한 토론
Ⅵ. 글을 맺으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잔인한 엄말 만났다. 말하면 심하겠지만 아름다운 세상구경 나도 해보고 싶어
세상에 어느 영혼이 소중하지 않은 게 어디 있어 날 버린 이유 있다 하여도
나는 살고 싶은걸
너무 무서운 것들이 자꾸만 나를 죽이려 하고 나는 살고 싶은 맘에 몸부림 쳐보지만
내 영혼 너무나 작아 그런지 날 못 느끼는지 왜 모두 무서운 그런 일들을 막지 않는 거야
비록 난 영혼이 너무 작아서 말을 못하지만 엄마의 사랑을 느낄 순 있어 제발 날 지켜 줘
엄마가 날 버릴 만큼 아무리 힘들다 해도
다시 한번 생각해봐 진정 옳은 일인지
세상에 어느 영혼이 소중하지 않은 게
어디 있어 날 버린 이유 있다 하여도
나는 살고 싶은걸
너무 무서운 것들이 자꾸만 나를 죽이려하고
나는 살고 싶은 맘에 몸부림 쳐보지만
내 영혼 너무나 작아 그런지 날 못 느끼는지
왜 모두 무서운 그런 일들을 막지 않는 거야
비록 난 영혼이 너무 작아서 말을 못하지만
엄마의 사랑을 느낄 순 있어 제발 날 지켜 줘>
가수 서정희의 ‘낙태’라는 제목의 노래이다. 낙태란 태아를 자연의 분만기 이전에 모체 외로 배출하는 행위 또는 태아를 모체 내에서 살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낙태와 유사한 개념으로는 인공유산, 인공임신중절 등이 있으며 인공유산은 주로 의학적 용어로 많이 쓰이고 인공임신중절은 법학적 용어로 많이 쓰인다. 인공임신중절수술이란 모자보건법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태아가 모체 밖에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시기에 태아와 그 부속물을 모체 밖으로 배출하는 수술을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낙태에 관하여 형법 269조와 270조에 처벌규정을 마련해 놓고 있으며 모자보건법에는 예외적으로 낙태를 허용하는 경우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매년 우리나라에서 낙태되는 태아들은 신생아의 약 2.5배인 150만명에 달한다고 한다. 또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의료체제상 낙태시술을 한 병원이 공식적으로 시술 보고를 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낙태시술을 받은 사람은 물론 낙태시술을 한 산부인과 의사도 밝히길 꺼려하며,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