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증(Schizophrenia)
- 최초 등록일
- 2009.03.08
- 최종 저작일
- 2004.01
- 5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정신간호실습 때 정신분열증 casestudy했던 자료입니다.
목차
제2장 자기이해
제3장 대상자 이해
1. 대상자의 정신상태 사정
제3부 실습보고서
1. 이상행동 check list (symptomatology)
2. NOSIE - 30
3. 과정기록표 (6일간)
4. 사례 연구 보고서
5. 관련문헌 고찰
6. 활동요법 문헌고찰 및 실시보고서
본문내용
3) 결론
이번 정신간호 실습을 통해 사례연구를 하면서 SPR이라는 질환에 대하여 자세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지난주 conference를 통해 SPR의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내 case환자의 증상을 더욱 파악하기 쉬웠고, 그에 따른 간호과정을 좀더 효율적으로 내릴 수 있게 되었다.
우선 내 Case환자는 SPR로서 시집살이의 피해로 인해 보상심리가 강해지게 되면서 발병하게 되어 보인다. 굉장히 수다스러우면서, 질문의 요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자신의 이야만 되풀이하며, 누군가가 자신의 꿈 조차도 훔처간다고 생각한다. 항상 집에 두고 온 아들 딸 걱정이고, 어떻게 하면 피해보상을 받을지를 고민하고, 또한 그 스트레스가 극도로 되었을 때 종이에 자신을 괴롭혔던 사람들의 이름을 적고, 사과하고, 돈을 갚으라는 식의 내용을 적어낸다. 전체적으로 내 case의 환자는 조증 양상을 많이 띠고, 시간이나, 사람, 장소 등의 지각의 이상이 없고, 이야기의 내용은 논리적이나, 때로는 이층사람 들이나, 이웃 사람들이 자신을 구타하려고 한다는 망상을 가지고 있다. 모든 사고는 보상심리와 연결되어 있으며, 의심이 많다. 그리고 앞으로 자신이 잘 살기 위해 항상 고민하며, 현재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하여 한자공부를 한다고 하였다. 이렇듯 환자는 편집형 정신분열증의 양상을 띤다.
따라서 이 환자의 간호과정으로는 하루의 두 번의 약물 투여와, 대화 들어주기, 활동요법을 통한 집단참여를 계획한 것이다. 내가 주로 하게 된 간호는 대화 들어주기 및 놀이에 참여시키는 일이었다. 대화는 주로 같은 패턴의 망상으로 인한 보상심리에 대한 말들을 반복하는 식이였고, 자식에게 친구가 되어달라는 요구와 진단서 얘기였다. 따라서 현실을 일깨워 줄 수 있는 말과 망상에 대해 현실과 연길시키고, 망상에 동의하지 않는 대화 들을 하였으며, 보상심리에 대하여 생각하지 않도록 탁구나 걷기를 통하여 운동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그 결과 예전보다 다른 사람들과의 어울림이 많아졌고, 또한 말수도 줄어들었으며, self care가 가능하지 못한 환자를 돕기도 하였으며, 종이에 쓰는 횟수가 줄고,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 가능해 졌다. 조금씩 질병이 호전되어 가고 있음을 느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