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건축색채계획
1-2. 건축색채계획의 필요성
2.건축색채에 관한 일반적 고찰
2-1. 건축색채의 의미
2-2. 건축에서의 색채의 비중
2-3. 현대건축 전환기의 색채의 역할
2-4. 서양의 현대건축과 색채
2-5. 한국건축과 색채에 관한 역사적 고찰
2-6. 현대건축의 흐름과 건축색채 계획
2-7. 한국현대건축의 경향과 건축적 특성
2-8. 색채환경(건축색채)의 요구조건
2-9. 주변 환경색과의 관계
3.우리나라 도시색채환경(건축색채)의 문제점
4.색채환경(건축색채)의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 참고문헌 -
본문내용
1. 서론
1-1. 건축색채계획
색채계획은 환경 및 건축물 계획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색채의 좋고 나쁨은 단지 건축물의 분위기만을 좌우하는 것이 아니고 주거하는 사람들의 감성. 의지. 행동에 지지 미묘한 영향을 두고 특히 색채의 생리. 심리적인 영향은 어떤 물리적인 자극보다 크게 작용합니다. 내부 인테리어 색채는 물론 외부 건축물의 마감까지 인간의 편안하고 안락한 주거 안정욕구를 만족시키며 미적 요소로서 예술적 사고도 포함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감각과 색채 그리고 기능이 모두 조화되어야 하며 그래픽의 중요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색채계획은 단순한 그래픽 팔레트가 되어서는 안되며, 시각적인 감성환경이어야 합니다.
1-2. 건축색채계획의 필요성
오늘날의 도시환경은 그 쾌적성(AMENITY)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나상업주의와 개인주의로 인하여 그 디자인은 통일성을 잃어가고 있다. 선진국의 도시들은 이미 도시이미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는데. 산업화로 인한 상업주의로, 그 동안 잠시 잊고 있었던 도시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이다. 또한 도시민들도 점점 자연환경 및 환경색채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역사적 환경이나 보행자 공간환경, 건축색채(색채환경)등 공공적인 문화공간까지도 고려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지방도시들도 독특한 그 지역의 특색을 살리고 관광진흥 등 다른 도시보다 비교우위에 서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그 지역의 도시민들에게는 자긍심을 주고 자발적으로 가꾸고 사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려는 시책이 대두되기에 이른 것이다.
또한 대도시의 인구과잉에서 벗어나려는 시책의 일환으로 신도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도 세계적인 추세라고 볼 때에 신도시 환경의 쾌적성이나 도시의 매력형성의 필요성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참고자료
· 1. 실용 색채학
· - 김 도양 저. 반도출판사. 1997
· 2. 밝은 도시환경 조성 및 건물 미관 개선
· - http://www.archinfo.co.kr/home/archnet/gun-news/991015.htm
· 3. 환경색채
· - http://www.koreacolor.net/works1.html
· 4. 한국 현대건축에 나타난 건축색채 사용 유형에 관한 연구
· - http://gorgon.interpia98.net/~dongbo61/thesis003.htm
· 5. 도시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 - http://star.kyungsung.ac.kr/~ikkim/index-10.html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