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사, 승화, 치환, 신체화, 백일몽, 유머, 이타주의, 금욕주의, 억압, 억제, 부정, 퇴행, 전치, 반동형성, 주지화, 취소, 해리에 관한 분석
목차
Ⅰ. 투사(投射)
Ⅱ. 승화(昇華)
Ⅲ. 치환(置換)
Ⅳ. 신체화(Somatization)
Ⅴ. 백일몽(Fantasy)
Ⅵ. 유머(Humor)
Ⅶ. 이타주의(Altruism)
Ⅷ. 금욕주의
Ⅸ. 억압(Repression)
Ⅹ. 억제(Suppression)
Ⅺ. 부정(Denial)
Ⅻ. 퇴행(Regression)
ⅩⅢ. 전치(Displacement)
ⅩⅣ. 반동형성(Reaction fromation)
ⅩⅤ.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ⅩⅥ. 취소(undoing)
ⅩⅦ. 해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투사(投射)
투사란 것은 자기의 결점이나 실패나 비행의 원인을 사실 그대로 인정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돌려 그 사람을 비난하는 기제이가. 예를 들면 시험에 실패한 학생이 자기의 실력부족은 인정하지 않고 출제자를 비난한다든가, 경기에 패배한 선수가 심판이 불공정하였다고 하여 심판관을 비난한다든가, 윤락 여성이 부모의 처사가 나빠서 자기를 파멸시켰다고 하여 부모를 비난하는 것 등과 같은 것이다. 투사에 있어서 남을 비난한다는 것은 자신을 변명하게 되는 것이므로 넓은 의미에 있어서는 합리화의 일종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투사를 합리와의 개념 가운데에 포함시키는 학자도 있다. 그러나 투사에 있어서 감정적 색채를 띤 책임전가의 심리가 작용한다는 점을 강조하여 이러한 심리는 합리화의 개념 가운데서 제외되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된다.
투사의 기제는 일시적인 화풀이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투사에 의한 행동을 실제로 일으키지 않는 한 유해한 것은 아니다. 투사가 습관화되거나 투사에 의한 행동이 실제로 일어난다면, 중대한 결과가 생길 것이다. 가정이나 사회에 있어서 불화는 투사에 그 원인을 드는 경우가 많으며, 투사가 병적 성질을 띠게 되면 여러 가지의 망상 특히 피해망상이 조성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인화도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투사를 하지 않는 데에 있다고 하겠다.
Ⅱ. 승화(昇華)
승화는 현실적인 욕구 불만을 보다 높은 차원에서 말하자면 지적 인도적 ,문화적 예술적인 것으로 욕구를 옮겨서 긴장을 경감시키거나 사회적으로 숭인될 수 있는 대상으로 작용하여 긴장을 경감시키고 부분적이나마 만족을 구하려는 현상이다. 예를 들면 억압된 성적 욕구나 성에 대한 호기심은 성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승화될 수 있으며, 자기 자녀를 가질 수 없는 성직자가 고아원을 운영하는 경우들은 윤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고 보다 높은 문화적 목표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인 것이다.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