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영상(Molecular Imaging)이란?
★광학영상 : 광학영상의 분류 및 기본원리
1.형광영상 보고자(fluorescent-labeled reporter)
2.생물발광영상
★핵의학적 영상 : 분자-핵의학을 위한 기본기술
1. 분자-핵의학 영상용 방사성 추적자
2. 분자-핵의학 영상용 기기
★자기공명(magnetic resonance, MR)영상
본문내용
★분자영상(Molecular Imaging)이란?
분자영상(Molecular Imaging)은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분야로,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분자수준의 변화, 즉 유전자의 발현, 생화학적 현상, 생물학적변화들을 영상으로 평가하는 기법이다. 분자영상법은 분자세포생물학과 첨단영상 기술이 접목하여 가능하게 되었으며 의학, 유전학, 분자생물학, 세포학, 화학, 약학, 물리학, 전산학, 의공학, 영상의학, 핵의학 등이 통합하여 생긴 새로운 분야이다. 기존의 의학영상 방법이 비특이적인 물리적, 화학적 성상의 차이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만들고 이 신호의의미를 임상적으로 추정 이용하는 데 반하여 분자영상법에서는 분자 수준, 유전자 수준의 작용에서 나오는 영상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다 특이적 영상이라는 특징이 있다.
분자영상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변화, 단백질 변화, 대사 변화, 세포 내 생물학적 변화 등을 다양하게 영상화할 수 있다. 핵의학적 방법을 예로 들면, 방사성 핵종표지 리간드로 세포막의 여러 단백질의 발현을 영상화하고, 세포 분화, 기능, 세포사멸(apoptosis) 등을 영상화하고 있다. 특히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를 이용하여 인체 내 각종 대사를 영상화하고 있으며, 포도당대사 영상법은 이미 임상에서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다.
분자영상화 기술은 크게 3가지 접근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광학적 영상화 기법(Optical imaging), 핵의학적 영상화 기법(Nuclear imaging),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위시한 CT, 초음파(US) 등 방사선과적 영상기법 등이다. 광학적 영상화 기법은 리포터 유전자로 형광단백질(fluorescent protein)을 이용한 방법과 luciferase라는 효소를 사용하는 발광(bioluminescent) 영상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형광단백질을 이용하는 경우 대표적인 것이 green fluorescent protein(GFP)이 있고 그 외에 yellow fluorescent protein(YFP), cyan fluorescent protein(CFP), red fluorescent protein(RFP) 등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