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 정의 무는 십자화과, 겨자 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 해살이 풀로 채소 가운데서도 음식의 쓰임새가 무척 많아 배추와 더불어 가장 많이 먹고 키우는 채소 중 하나이다. 무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를 기원전으로 추정할 만큼 아주 오랜 세월동안 우리나라 생태에 적응하여 우리 입맛에 맞는 먹을거리로 자리 잡았다. 무는 재배 역사가 오래된 만큼 기원지도 중국, 지중해연안, 서아시아 등 많은 곳이 꼽히는데 대체로 지중해 동쪽연안과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지역을 그 기원지로 들며 오래전부터 중국, 한국, 일본 및 유럽의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해 왔다. 또한 무는 세계각지에 여러 가지 형태로 재배되어 형태적으로 많은 품종들이 있지만 식물분류학상으로는 어느 것이나 모두 단일 종으로 되어있다.
⤷“무” 특성
↦무의 생김새- 무의 잎과 뿌리의 형태는 품종에 따라 다양한데 먼저 뿌리를 살펴보면, 측근이 없는 상부는 배축이 비대하고 측근이 있는 하부는 뿌리가 비대하며 겉 부분의 색이 흰색, 분홍색, 붉은색, 자주색, 검은색으로 아주 다양하다. 잎은 대체로 어긋나서 다발을 이루고 구두주걱 모양에서 깃 모양으로 깊게 찢어진 것 등이 있으며 보통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이고 거친 털이 있다. 또 무는 흰색이나 연보라색의 맥이 있는 꽃이 피는데 4개의 꽃잎으로 갈라지는 십자화이며 4개의 긴 수술과 2개의 짧은 수술 및 1개의 암술로 구성되는 양성화에 속한다. 길이 약 5cm의 장각과인 열매는 잘록한 부분이 있고 부푼 부분에 1~2개씩 여러 개의 씨가 들어있다. 줄기의 밑 부분과 그것에 연결된 뿌리가 비대한 것이 무인데, 잎과 함께 식용하며 무의 형태 또한 둥근 모양에서 막대모양까지 품종에 따라 다양하다.
참고자료
· 01.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농작물 백가지 P.162~170 (이철수, 2000, 현암사)
· 02. 원예연구소 http://www.nhri.go.kr/09_etc/09_sub01_01.htm
· 03. 김희정의 작물백과 http://gold32.com.ne.kr/jakmul/mu.html
· 04. 샘나 http://www.samna.co.kr/abcd/koa21.htm
· 05. 박용섭의 들꽃세상 http://user.chollian.net/~handemin/%B9%AB.htm
· 06. 일본어닷컴
· http://www.ilbono.com/pipi/%C0%E7%B9%E8%B9%FD/%B9%AB%BF%EC.htm
· 07. 원예마을 http://www.wonye.co.kr/tachnical/sickness/ra/ra01.htm
· http://www.wonye.co.kr/gardening/dictionary/radish.htm
· 08. 섬진강
· http://www.simcheong.com/kor2002/farming/contents02/02mu01_read02_04.htm
· 09. 서명훈의 채소이야기 http://www.vegetables.pe.kr/
· 10. 다음 블로그 - 소나기 http://blog.daum.net/jkh6792/6570885
· 11. 다음 카페 - 민초들의 향기마을 http://cafe.daum.net/minchomaeul
· 12. 국가 생물종 지식 정보시스템
· http://152.99.197.75/bmagn/plsql/web_sangseframe?s_pl_plant_cd=15440000000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