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의 필요성과 윤리성 및 효과성
- 최초 등록일
- 2009.02.19
- 최종 저작일
- 2009.02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집단상담-집단상담의 필요성과 윤리성 및 효과성에 관한 글
목차
Ⅰ. 정의
1. 집단이란?
2. 집단상담이란?
1) 몇 대표적 집단상담의 정의
2) 종합적 정의
Ⅱ. 집단상담의 필요성
1. 이장호,김정희(1993)가 설명한 집단상담의 필요성
2. 체계적 조력의 필요성
1) 문제인식 및 재구성에서 조력 필요성
2) 문제해결 구성과정에서 조력 필요성
3) 문제해결책 수행과정에서 조력 필요성
4) 평가과정에서 조력 필요성
Ⅲ. 집단상담의 윤리성
1. 집단참여에서의 윤리적 쟁점들
1) 사전동의
2) 비자발적 참여
3) 집단을 떠날 자유
4) 집단참여에 따른 심리적 위험
2. 비밀유지
Ⅳ. 집단상담의 효과성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정의
1. 집단이란?
집단상담은 집단과정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집단상담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집단이 무엇이냐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통상의 의미로 집단이란 두 사람 혹은 그 이상의 사람들의 모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엄격히 따지자면 사람들의 단순한 모임과 집단과는 구별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몇 사람이 공간적으로 같은 곳에 그리고 시간적으로 같은 때에 모여 있는 것만으로는 집단이 될 수 없다. 예를 들면 같은 시간, 같은 장소이긴 하나 극장의 관객들의 모임은 횡적인 상호관계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집단이 될 수 없다.
여러 학자들의 여러 속성들을 상담과 관련지어 생각해보면, 어떤 모임이 하나의 집단이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공동목표, 집단원들의 의욕과 참여, 역동적 상호작용, 집단의 규준, 그리고 자기지도를 위한 다섯 가지 속성을 갖추어야 할 것 같다. 즉 상담을 행동변화 혹은 학습의 과정으로 볼 때, 하나의 집단과정을 통하여 행동이나 태도의 변화가 일어나려면 적어도 그 집단은 공동목표를 가지고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모여야 할 것이고, 그 성원들은 의욕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므로 신뢰에 더한 밀접한 상호작용을 경험해야 하며, 그 결과 집단원들이 따르게 될 집단의 규준이 발달되어야 하는 것이다.
2. 집단상담이란?
1) 몇 대표적 집단상담의 정의
“집단상담이란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의도에서 그들 스스로와 그들의 조건들을 탐구, 조사하는 한 사람의 상담자와 몇 사람의 집단원들이 관련되는 하나의 대인간의 과정이다.”(Hansen, Warner와 Smith, 1976, p.7)
“집단상담은 6명에서 12명까지의 학생들이 집단지도성의 훈련을 받은 한 사람의 유능한 전문가의 지도 아래 교육적, 직업적, 사회적 및 개인적 가치 등에 관한 그들 상호간에 의미 있는 대화(multi-dialogue)를 나누는 과정이다.”(Jackson, 1969, p.6)
참고 자료
김명권 외 4인 편역, “집단상담-과정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이형득 외 4인 공저, “집단상담”, 중앙적성출판사
이재규 저, “학교에서의 집단상담-실제와 연구”,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