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매스 에너지 기술 연구 [미래 에너지, 바이오매스, 바이오에너지, Biorefinery, 대체 에너지]
- 최초 등록일
- 2009.02.17
- 최종 저작일
- 2009.02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바이오 매스 에너지 기술 연구
목차
Ⅰ.문제제기
Ⅱ.바이오매스란?
Ⅲ.바이오매스변환
Ⅳ.Biorefinery 기술이란?
Ⅴ.바이오매스의 종류
Ⅵ.바이오매스기술의 현 상황
Ⅶ.바이오매스 산업 매력도
Ⅷ.바이오매스의 에너지 전환기술
Ⅸ.바이오매스 보급방안
Ⅹ.우리나라에서 바이오매스를 상용화하기 위해 해야 할 노력
Ⅺ.Reference
본문내용
1. 문제제기
20세기 들어 전 세계적으로 석유산업 중심의 에너지 공급이 이루어져 왔고, 1970년대 석유위기 이후에는 석유산업 이 외에 천연가스나 원자력이 인구의 급증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에너 지 수요 증가와 일부분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향후 화학연료의 고갈이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 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이나 가격 등의 문제로 인해 더 이상 신규 건설을 실시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여러 각도로 검토되어 왔다. 이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개 발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지난 몇 년간 에너지 시장의 동향을 살펴보면 현재 우 리나라의 화학 산업과 에너지 시장에 위기가 닥쳤음을 알 수 있다. 2005년, 지구 온난화에 대한 전 세계적인 위기감으로 교토의정서가 발효되는가 하면 최근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각종 매체는 고유가에 대한 이야기로 떠들썩했다. 우리나라의 화학 산업은 구조상으로는 아직 성숙 단계이기 때문에 같은 분야의 다른 나라들에 비해 경쟁력에서 뒤떨어질뿐더러 최근 원료 공급이 원활한 중동 석유 화학 산업이 급부상하면서 새로운 시장의 개척이 절실해지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우 리나라는 현재 태양열, 풍력, 지열, 파도력, 조력, 수소, 바이오매스 에너지 등의 신개념의 에너지 들이 연구 개발, 실용화를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 중 바이오매스는 광합성에 의해 만들어진 유기물로부터 순환 가능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화석연료 에너지를 보완할 수 있는 에너지로서 주목받고 있다.
2. 바이오매스란?
바이오매스 (biomass)란 어느 시점에 임의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특정한 생물군(生物郡)의 양을 중량이나 에너지량으로 나타낸 현상으로 생물량 또는 생체량이라 한다. 이것은 살아있는 동․식 물, 미생물의 유기물량(보통 건조중량 또는 탄소량으로 표시)을 의미한다.
참고 자료
⦁ ‘한국형 바이오 연료의 기능성 평가 및 시사점’, 삼성 경제 연구소, 2007.1.4
⦁ ‘미국의 바이오 에너지 개발 현황과 시사점’, 삼성 경제 연구소, 2006.2.20
⦁ ‘바이오 연료의 합리적 도입 방안’, 삼성 경제 연구소, 2006.11.8
⦁ ‘바이오매스 자원 상업화, 어디까지 왔나’, LG 경제 연구원, 2006.8.30
⦁ `바이오매스-미국‘, 일본공업신문사 월간 지구환경 8월호
⦁ ‘환경과 경제 양립을 향한 「일본의 바이오매스 종합 전략」, 일본공업신문사 월간 지구환경 4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