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7차 교육과정 비교
- 최초 등록일
- 2009.02.14
- 최종 저작일
- 2008.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6차 7차 교육과정에 대해서 다방면으로 비교하였습니다.
참고로 마지막 부분에 참고자료 출저를 밝혔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제6차 교육과정
1. 제6차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2. 제6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3. 제6차 교육과정의 특징
Ⅲ. 제7차 교육과정
1.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2.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3.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Ⅳ.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1.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의 비교표
2.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점
3. 제7차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문제점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교육과정이란 영어의 ‘커리큘럼’의 번역어이다. 커리큘럼은 원래 라틴어인 ‘쿠레레’에서 유래한 것으로, ‘경마장에서 말이 뛰는 길’을 의미한다. 경마장에서 말이 뛰는 길은 정해져 있으며, 다른 길로 뛰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교육과정도 마찬가지로 공부하는 학생들이 ‘마땅히 따라가야 할 길 또는 코스’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영어권에서 교육과정이라는 말은 학교 교육과 관련해서 뿐만 아니라 학교 밖의 교육 또는 일상생활에서도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학교교육과 밀접히 관련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학교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이 구분되지 않고 거의 동일한 의미로 상용되고 있다.
1970년대 이전까지의 학교 교육과정은 ‘무엇을’, ‘어떻게’, ‘왜’ 가르칠 것인가라는 질문을 다루는 학문 영역 또는 실천 영역을 뜻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왔으나. 1970년대를 고비로 무엇을, 어떻게, 왜 ‘가르치고 배우고 있는가’를 다양한 인문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노력을 일컫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왔다. 변화하는 개념과 사회에 맞추어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현재까지 7차 개정이 있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① 8·15광복 후 미군정청 학무국에서 교수요목을 제정하여 교과서를 편찬하여 쓰던 교수요목시대
② 정부수립과 6·25전쟁이 끝난 후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사조에 따라서 신교육이 강조된 1955년의 1차 교육과정 개정 또는 교과과정시대
③ 5·16군사정변 후 민족주체성과 경제발전이 강조된 1963년의 2차 교육과정 개정
④ 학문중심의 교육과정에 따라 산업화사회에서의 국민의 자질함양과 인간교육을 강조한 1973년의 3차 교육과정 개정
⑤ 경제 제일주의로부터 복지사회와 정의사회의 실현이라는 방향에서 제5공화국의 출범과 함께 실시된 1981년의 4차 교육과정 개정
⑥ 고도산업화, 국제관계의 다원화, 평화통일 등에 대한 대응으로 실시된 1987년의 5차 교육과정 개정
참고 자료
예비․현직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2003) 교육과학사-김재춘 외 3명
교육과정과 교육평가(2003) 동문사-길형석, 손충기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2004) 학지사-강현석, 주동범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2004) 학지사-강현석, 주동범, 김창호
신 교육과정 총론(안)공청회-교육과정 2000체제 및 구조 개선(1996)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이론과 실제(2002) 양서원 -윤병희 저
한국 교원단체 총 연합회 http://www.kfta.or.kr/
교육과정 정보 서비스 http://www.knci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