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직과 기술교육에 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9.01.26
- 최종 저작일
- 2008.12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생산직에서의 기술기능인력 부족과 실업계 학교에 대한 기피현상에 대해 작성한 리포트입니다.
우리나라 직업교육의 특징을 서술하였고 다른나라의 직업교육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1. 생산직 기술기능인력 부족
2. 실업계고등학교의 기술기능인력 양산기능 상실
Ⅱ. 생산직 기술기능 인력 부족의 원인
1. 생산직 기술기능 인력의 사회적 처우
2. 실업계 교육의 문제
Ⅲ. 외국의 기술교육 사례와 시사점
1. 미국
2. 일본
3. 영국
4. 우리나라 직업교육에의 시사점
Ⅳ. 개선방안
1. 생산직 기술기능인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2. 실업계 고등학교의 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 정립
3. 산학협력 등 교육의 현장성 강화
4. 해외연수 및 취업 기회 적극적 제공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생산직 기술기능 인력의 사회적 처우
고졸 이하 청년 실업률이 10%에 이른다고 하지만 요즘 산업현장에는 젊은 사람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많은 중소기업들은 생산직 사원 부족현상을 겪고 있으며 그나마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지만, 인력 부족으로 고가의 장비를 가동하지 못하고 있는 사례가 많다. 반면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들은 중소기업의 생산직 사원으로 일하기보다는 대학진학이나 서비스업을 선택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생산직의 상대적 저임금 및 생산직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 때문이다.
(1) 생산직의 상대적 저임금
아래의 표에서 생산직 직종인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와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의 임금은 전직종 평균임금보다 낮고 전문직, 기술공 및 준전문가와는 많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타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받는다는 것은 직업을 선택할 때 생산직을 기피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때문에 우수한 학생들은 인문계 고등학교로 진학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도 생산직에 취업하기 보다는 대학진학 등을 통해 다른 진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하지만 서비스종사자 보다는 생산직 직종이 높은 임금을 받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들은 중소기업의 생산직에 취업하기 보다는 서비스업에 종사하기를 원하고 있다. 이런 현상을 볼 때 상대적인 저임금뿐만 아니라 생산직 직종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 3D직업 기피현상 등의 임금 외적 요소도 생산직 기피현상의 원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2) 실업계 고등학교와 생산직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
해방이후 경제발전을 이룩하던 1980년대까지는 생산직 기술기능 인력들이 산업역군으로서 주목받았다. 실업계 고등학교는 경제적으로 빈곤하지만 우수한 학생들이 취업을 위하여 진학하는 학교로 인식되었으며 졸업 후 취업은 물론 기업에서 승진 발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점차 고등교육이 보편화되면서 고학력자가 양산되는 과정에서 과거 실업계
참고 자료
강순희, 생산직 기술기능인력 수급상의 문제점 및 대안, 한국노동연구원, 2002.
김민석, 특성화고교 활성화를 통한 산업인력 양성방안, 대한상공회의소, 2006.
오영재․정지선,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사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행정연구원, 2006.
원윤재, 중고생 직업교육의 현황과 과제, 대한상공회의소, 2003.
윤인경 외2, 가사․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활성화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3.
정주연, 실업계 고교 교육정상화 필요, KDI경제정보센터, 2003.
네이버 www.naver.com
다음 www.daum.net
매일경제신문 www.mk.co.kr
연합뉴스 www.yonhapnews.co.kr
대한상공회의소 www.korcham.net
교육인적자원부 www.moe.go.kr
통계청 www.nso.go.kr
한국교육개발원 www.kedi.re.kr
한국노동연구원 www.kl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