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미술
- 최초 등록일
- 2009.01.14
- 최종 저작일
- 2009.0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공공미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공공미술이란
우리나라 공공미술의 현 단계
공공미술의 역할 및 기능
본문내용
공공미술이란
공공적 성격, 즉 공공성을 띤 미술을 가리킨다. 미술과 공공성이 만남으로써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험과 창조적 가능성을 가리키는 열린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또한 공공미술은 도시 생활의 질을 높이고, 도시인의 권리 실현을 돕는 민줙이고 공공적인 미술행위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쉽게 감상할 수 있다.
전통적 공공미술이 공공의 개념을 장소와 관련시켜 작품을 만들고 소통하는 데 반해, 새로운 공공미술은 장소를 물리적 장소로 보지 않고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소통의 공간으로 간주해야 한다. 공공미술은 역사적으로 크게 네 단계를 거치면서 확대 발전해 왔다. 근대 이전에는 건축에 회화와 조각이 통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공공미술이라는 개념은 성립하지 않는다. 공공미술 개념이 등장하게 된 것은 근대 이후, 기능주의 건충양식이 도입되어 회화와 조각이 건축과 연관을 잃게 되면서부터이다. 공공미술이 제도화된 것은 1950년대 프랑스에서 ‘미술을 위한 퍼센트법’이 제정되면서부터인데, 이후 60여년 간의 역사를 통해 여러차례 개념적인 변화를 겪어 왔다. 그러한 변화과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이 5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미술가를 위한 공공사업
2. 건축 속의 미술
3. 공공장소 속의 미술
4. 도시 재생을 위한 미술
5. 새 장르 공공미술
새 장르 공공미술은 행동가적 예술가의 역할을 강조하며, 주민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과정 중심의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공동체 속에서 일상의 삶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예술을 구현하고 있다.
도시의 공원에 있는 환경조각이나 벽화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용어는 영국의 존 윌렛이 1967년 《도시 속의 미술 Art in a City》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아트디렉터와 화상·큐레이터·평론가·수집가 등 소수 전문가들의 예술적 향유가 일반 대중의 미감을 대변하는 것처럼 만들어 소수의 행위를 정당화시킨다는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일반인들의 정서에 개입하는 미술개념으로서의 공공미술을 고안하였다.
참고 자료
사라 샐우드, <공공미술의 혜택>,1992
영국 문화미디어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