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경기체가에 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09.01.12
- 최종 저작일
- 2008.06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조선조시가론 때 제출한 리포트 입니다.
조선시대의 경기체가의 특성에 관해 정리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경기체가의 역사적 등장배경
2.2. 조선시대 경기체가의 장르문제
2.3. 경기체가의 성격 및 그 변화
2.3.1. 고려시대의 경기체가
2.3.2. 조선초의 경기체가
2.3.3. 후기의 작품들
2.4. 조선시대 경기체가의 내용
2.4.1. 조선초의 악장문학으로 장르 정착
2.4.2. 불교포교의 기능을 담당하는 경기체가
2.4.3. 도락적(道樂的)ㆍ유락적(遊樂的) 미의식의 지속과 변이
2.5. 조선시대 경기체가의 작가와 향유층
2.6. 경기체가의 형식과 변모양상
2.6.1. 정격형
2.6.2. 변격형
2.6.3. 파격형
2.7. 경기체가의 쇠퇴ㆍ소멸의 과정
3. 결론
본문내용
서론
고려 중엽 권문세족에 대항하는 지배세력으로 성장하던 신흥사대부가 상층의 시가문학을 새롭게 일으키고자 만든 문학장르로 시조, 가사, 경기체가가 있다. 이 중 경기체가는 주로 한학자들에 의하여 읊어진 長歌로 景幾何如라고도 한다. 노래 말미에 반드시 ‘景 긔 엇더니잇고’ 또는 ‘景幾何如’ 라는 句를 붙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고려말에는 신흥 관료의 기상과 포부를 노래했고, 조선시기에는 신왕조의 찬양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는 경기체가를 과도기적 장르, 기형적 장르, 이행기적 장르라고 한다. 왜냐하면 한문투의 어색하고 생경한 나열이라고 여기거나 중국문학의 왜곡된 모방처럼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허남춘, 「한림별곡과 조선조 경기체가의 향방」, 한국시가연구 권 17, 한국시가학회, 2005, p.220
경기체가문학에 대한 연구는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자료연구, 형식문제, 발생기원, 시대구분, 향유층 및 특성에 걸쳐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경기체가의 경우는 많은 부분이 한자를 사용하여 기술되었기 때문에 정형문학의 가능성을 가졌고, 동일한 음악에 의해 형성된 일정한 형식의 장르라는 점, 분위기를 돋우고 우리의 감정을 노래하기 위한 우리말이 함께 사용된 특이한 점 등으로 국문학사에 있어 시사점이 많은 장르이다. 이임수, 「경기체가에 대한 문학사적 검토」, 한국어문학회, 통권 제 58호, p.124
현재 교육과정에서도 경기체가 최고(最古)작품인 한림별곡이 다루어지고 있다. 경기체가를 창작시기별로 구분을 하면 크게 고려시대작품과 조선시대 작품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고려시대의 작품으로는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세 작품이 있고 나머지는 다 조선시대 작품이다.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로 넘어가는 역사적 상황과 더불어 경기체가도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서 변화를 겪으면서 다양하게 발전을 하다가 16세기에 이르러 쇠퇴의 길을 겪는다.
여기에서는 앞서 예를 든 고려시대 세 작품 보다는 그 수가 월등히 많은 조선시대 경기체가를 중심으로 일반적인 시가의 변화양상에 따라 조선시대 경기체가는 어떠한 변형을 겪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를 위해서 우선 경기체가의 등장배경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알아보고, 문학사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경기체가의 장르적인 특성과 정의문제도 조선전기 경기체가를 예로 들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 후 시대별로 나타나는 경기체가 작품을 분류하여 작품 분석의 핵심이 되는 형식과 내용적인 측면을 구분하여 살펴 볼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경기체가의 탄생과 발전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국문학사를 장식하는 한 장르로써 역사적 상황속에서 어떤 길을 밟고, 어떻게 쇠퇴했는지 알아봄으로써 경기체가의 문학사적 의의도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참고 자료
각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