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례놀이의 개념과 분포
2. 다시래기란?
3. 다시래기의 특성
(1) 전문 연희자
(2) 음악
(3) 사당패의 영향
(4) 등장인물 및 소도구
(5) 공연내용 및 절차
4. 장례놀이에 나타난 웃음의 의미
3. 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죽음은 사람이 태어나서 거쳐야만 하는 마지막 의례인데 이것이 바로 상·장례이다. 다른 의례들은 의례를 거치는 당사자가 어느 정도 의례의 주체 노릇을 하지만, 상례는 죽음의 의례를 거치는 당사자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를 지켜보고 있는 살아남은 자들에 의해 치러진다는 특징이 있다. 자연히 산 자와 죽은 자가 함께 통과의례의 일정한 과정을 겪어야 한다.
상례가 초상에서부터 소대상까지 거치는 모든 의례를 포괄적으로 뜻한다면, 장례는 상례 가운데서 특히 주검을 묘지까지 운송하여 매장하는 데 관계되는 일련의 의례를 구체적으로 뜻한다. 고대에는 노래 부르고 춤추는 가운데 축제 분위기 속에서 주검을 운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고대의 축제식 운구풍속이 오늘날 장례와 관련된 놀이들로 남아있다.
장례는 한결같이 죽음을 다루는 엄숙하고 경건한 의례이자, 침통한 분위기 속에서 치러지는 의식임에도 불구하고 특히 장례 때에는 상당히 풍자적이고 회화적인 놀이를 즐겼을 뿐 아니라, 그 내용에 있어서 일상적인 도덕률을 뒤집어엎는 극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2) 지역적 분포
① 황해도 옹진의 생여돋움
초상이 났을 때 특히 호상일 때 동네 사람들인 상여꾼들이 해가 지고 밤이 되면 북 장구 등을 치며 상여 앞에 잘 노는 사람이 타고서 우는 시늉, 상제 시늉, 재산 나누 는 시늉 등 상여놀이를 한다. 상여놀이가 끝나면 상가로 돌아와 마당에서 시신을 상 여에 안치하고 상포계군들은 다시 선소리를 위시하여 각종 놀이를 하고 투전을 하며 밤을 세웠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