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을 굴착하여 생물반응기에서 처리하는 방식.
굴착한 토양을 먼저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토양을 오염물의 농도, 생분해율, 물리적 특성에 따라 적당한 농도로 물과 혼합.
토양은 반응기에서 부유하고 양분, 산소와 혼합 ( pH조정을 위해 산과 알칼리를 첨가. 미생물이 적정량 함유되어 있지 않다면 첨가)
생분해가 종료되면 슬러리를 탈수. 탈수장치에는 clarifiers, 압축필터, 진공필터, 모래건조상, 그리고 원심분리기 등이 이용.
기술 개요
이 론
3
처리 공정도
이 론
3
적용 범위에 따른 분류
Low-Shear Airlift Reactors(LSARs)
휘발성 오염물질이 포함된 경우, 또는 공정제어가 어렵거나 높은 처리효율이 요구되어질 때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한 공정. 밀폐된 형태의 반응기이므로 오염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배출가스는 별도의 후처리 공정에 의해 처리.
Aerated Lagoons
소규모 도시의 폐수처리시설에 사용되며, 슬러리상 생물학적 공정 중에서 가장 간단한 형태. 반응기에 영양물질과 배양된 미생물을 넣고 폭기시키는 방법.
이 론
3
처리 물질
폭발성 물질, 탄화수소, 유기용매, 살충제, 나무 방부제로 오염된 토양, 슬러지, 지하수 등을 복원하는데 사용.
무기오염물질의 제거에는 사용될 수 없다.
생물반응기는 이질토양, 투수성이 낮은 토양, 그리고 오염토양을 짧은 시간 내에 처리하고자 할 경우에 적용
관 련 물 질 : [VOCs],[SVOCs],[Fuels],[Explosives],유류(TPH)
제약 조건
이 론
3
오염토양을 굴착해야 한다
토양을 반응기 속에 넣기 전, 크기별로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비용도 많이 소요 된다. 비균일 토양, 점토성 토양은 생물반응기에서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
처리 후에 미세토양으로부터 수분을 제거 하는 데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
세척수의 처리가 필요하다
영향 인자
참고자료
· 코네틱 - http://www.konetic.or.kr
· 국가 지정연구실 ( National Research Laboratory) -http://neel.kaist.ac.kr/nrl/index.php
· 환경공학 연구 정보 시스템 - http://www.dicer.org/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