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감염지침

*민*
최초 등록일
2009.01.08
최종 저작일
2009.01
6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감염지침에 대한 내용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래요

목차

01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99
02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VRE 104
03 Creutzfeldt-Jacob Disease CJD) 113
04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EHEC, E.coli O157:H7,
) 122
05 Varicella - Zoster virus 125
06 Human immunodeficiency virus(HIV) 130
07 Tuberculosis 142
08 Rotavirus 146
09 Clostridium difficile 149
10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SARS ) 151

본문내용

1. 개요
황색포도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호기성 혹은 통성혐기성 그람양성 세균으로 사람의 피
부나 점막에 집락을 형성하며 높은 보균율로 인하여 인체에 매우 흔한 감염증을 일으킨다. 이 균은 주
로 사람의 비강에 보균되어 있는데 지속적인 보균자가 전체 인구의 약 10 - 20%에 달하고 일정시점
에서는 약 30 - 50% 인구가 보균 상태로 있다고 한다.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이란
Staphylococcus aureus중에서 Oxacillin(Methicillin), Nafcillin, Cephalosporin, Imipenem,
other β-lactams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대부분 여러 가지 항생제에 내성을 갖고 있어서,
1) MRSA 감염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가 제한되어 있어므로, 치료상의 문제를 갖고 있으며,
2) MRSA 내성이 전이되며,
3) 전파력이 강하고 토착화되기 쉬우며,
4) 한번 토착화되면 관리가 매우 어려우므로 병원감염관리의 중요한 대상이다.
2. 위험인자 및 전파경로
MRSA를 획득하는 위험인자로는 고령, 남자, 입원경력, 장기입원, 화상병동 또는 중환자실 입원, 만성
기저질환의 존재, 항균제 사용, 보균자와의 접촉, 광범위한 창상 및 화상, 카테터나 인공물 삽입등이 관여
한다. 주로 직접 또는 간접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그 중에서도 감염원과 접촉한 의료인의 손에 MRSA가
오염되어 다른 환자에게로 전달되는 경우가 가장 흔한 전파양식이다.
3. 감염관리지침
MRSA가 분리되는 환자의 격리방법은 표준격리를 기본으로 지키고 접촉격리를 준수한다.
1) 손 씻기
MRSA 감염 또는 집락화된 환자와 접촉하는 모든 직원은 환자와 접촉하기 전과 후에 반드시 소독제
가 포함된 비누(betadine soap, microshield 또는 H-tinc G, Avagard)로 철저하게 손을 씻는다.
01
Ⅵ-99
(Ⅱ. 감염관리를 위한 손씻기 참조)
2) 장갑착용
환자의 분비물이나 오염된 환경과 접촉할 때는 일회용 깨끗한 장갑을 착용한다

참고 자료

1. CDC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SARS, 2003.
2. 사스 관리지침,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원, 2003.
3. 격리병원 사스관리지침, 국립보건원, 2003.
4. http://dis.mohw.go.kr(전염병정보망)
5. http://mohw.go.kr/sars_index.asp(사스 홈페이지)
*민*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직원 감염 관리 지침 9페이지
    감염 관리 지침이다. 1. ... 병원의 감염관리 지침 및 교육 < 국립마산병원 > 아래는 국립마산병원의 직원 ... 관리의 원칙과 방법은 감염 관리 지침서를 참조하거나 감염대책위원회로 문의한다
  • 파일확장자 치과 감염관리 지침 12페이지
  • 한글파일 요로감염 예방지침(감염관리) 3페이지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예방지침 1 □ 환자에게 ...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예방지침 2 □ 밀폐시스템 ... 【감염 가능한 부위】 1. 도뇨관 삽입부 2.
  • 한글파일 손위생 감염관리 지침 12페이지
    손 위생 감염관리 지침 □ 목적 ? ... □ 지침 및 절차 ? ... 의료관련 감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 적용범위 ?
  • 한글파일 재활치료실 감염관리 지침 18페이지
    감염관리지침. ... 재활치료실 감염관리 지침 □ 목적 ? ... 한미의학, 2017. 2) 병·의원 감염관리 기본 지침서.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감염지침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