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구약성서에 나타난 메시야 사상을 시대별로 핵심 요약한 자료입니다.구약의 메시야 사상에 대해 연구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차
구약의 메시야 사상1. 서언 2
2. 메시야 개념 2
3. 아담, 아브라함, 이삭, 야곱 시대에 나타난 메시야의 의미와 특징 5
4. 모세시대에 나타난 메시야의 의미와 특징 9
5. 여호수아, 사사들, 사무엘, 다윗, 솔로몬 시대에 나타난 메시야의 의미와 특징 11
6. 시편에 나타난 메시야의 의미와 특징 19
7. 예언서에 나타난 메시야의 의미와 특징 23
8. 결론 32
본문내용
구약의 메시야 사상1. 서언
성경은 저자들이 살았던 시대의 문화 속에서 그 시대의 언어를 기록하였으며, 따라서 성경 속에서 독자는 다양한 자료들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성경 저자들은 말, 행동, 반응 및 평가가 다양한 시대 속에서 역사적 상황 및 구체적인 장소에서 나타나거나 주어졌을 때 이것들을 기록했던 것이다.
계시라는 개념은 드러나지 않은 것을 나타내 보이며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계시는 최종 근원이신 하나님께서 계시를 우리에게 주셔야 한다. 과연 하나님께서는 인류 역사를 주관하시면서 인간에게 말씀하셨다. 그리고 그 말씀은 각 시대의 문화상황에 맞게 전달되고 기록되었다. 즉,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문장과 단락을 사용하셨던 것이다. 또한 하나님께서는 선포된 말씀과 일치된 행동을 보이셨다. 행동과 사건이 무대를 마련했고 뒤이어 어떤 말씀들이 주어졌다. 여기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하나님에 의해 명백하게 불순종이나,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언약 관계적 측면에서 볼 때 성경은 하나님과 인류가 관계있음을 보여주는 영구한 기록이다. 이러한 언약관계의 핵심은 하나님께서 세우시고 유지하시고 이행하시는 생명과 사랑의 결합이다. 이러한 결합은 대체적으로 특별한 환경, 시대 그리고 하나님께서 어떤 무리들과 함께 하시느냐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난다. 신적으로 기원되고 실행되는 생명과 사랑의 결합은 우주 창조 때의 특히 인간이 창조될 때에 세워진 것이다. 원래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통치 영역으로서 그리고 인간이 대리인으로서 섬길 수 있는 무대를 먼저 만드셨다. 이러한 결합이 창조 언약 속으로 완전히 돌아오게 하려고 구속언약을 시작하시고 세우셨다. 이미 이 언약은 여러 세대들을 통하여 점차적으로 드러나고 실행되며 적용되고 있다. 인류는 이 명령을 만족시킴으로써 살아있으며, 사랑이 넘치는 방법으로 하나님께 응답해야 한다. 왜냐하면 구속의 명령은 타락한 인류가 창조언약관계 속에서 회복되어 만족할 정도로 섬길 수 있게 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가리피 헨리,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들」, 김덕천 역, 서울: 새순출판사, 1992.게라르드 반 그로닝겐, 「구약의 메시야 사상」, 유재원, 류호준 공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
게오르그 포러, 「구약성서 개론」, 방석종 역, 서울: 성광문화사, 1985.
게오르그 포러, 「이스라엘 역사」, 방석종 역, 서울: 성광문화사, 1986.
구덕관, 「구약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김철현, 「예언자연구: 왕국비판과 그들의 케리그마」, 서울: 이문출판사, 1983.
김희보, 「구약신학논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0.
덤브렐, W. J., 「언약과 창조: 구약 언약의 신학」, 최우성 역, 서울: 크리스챤서적, 1990.
에드워드 뵐, 「구약속의 그리스도」, 권호덕 역, 서울: 그리심, 2003.
월터 C.카이저, 「구약에 나타난 메시아」, 51.
존 브라이트, 「이스라엘 역사」, 김윤주 역, 왜관: 분도출판사, 1983.
허먼 리델보스, 「구속사와 하나님의 나라」, 오만광 역, 서울: 풍만출판사, 1986.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