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도][차][예절][다례][다예][차문화][다도의 기여][다도와 예절][다도의 활용][차 마시는 법][차의 효능]다도의 기여, 다도와 예절, 다도의 활용, 차 마시는 법, 차의 효능(다도, 차, 차문화, 예절, 다례, 다예)
- 최초 등록일
- 2008.12.21
- 최종 저작일
- 2008.12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다도의 기여, 다도와 예절, 다도의 활용, 차 마시는 법, 차의 효능 심층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다도의 기여
Ⅲ. 다도와 예절
1. 손님맞이
2. 차 우리기
3. 차 따르기
4. 차 마시기
5. 차자리 정리
Ⅳ. 다도의 활용
1. 차와 미용법
2. 차와 요리
3. 차와 옷 입기
Ⅴ. 차 마시는 법
Ⅵ. 차의 효능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도란 차잎 따기에서 차를 우려 마시기까지의 차일로써 몸과 마음을 수련하고 덕을 쌓는 행위를 말한다. 또 다도라고 하는 말은 다를 마시는 멋과 더불어, 인간이 건전한 삶의 길을 걷자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우리 인간 생활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하나는 보이지 않는 정신적 세계와 다른 하나는 물질적 세계이다. 다도는 차:다(茶)자와 길:도(道)자가 합쳐져서 이루어진 문자로(茶+道=茶道) 차라고 하는 물질과 도라고 하는 절대적, 진리적 경지가 한 단어로 표현된 것이다. 이는 다 생활을 통하여 절대의 경지인 도의 차원에까지 이룰 수 있다는 뜻에서 생겨난 말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다도는 차를 끓여 대접하는 예절과 방법이라고만 알고 있다. 하지만 다도는 차 생활을 통해서 얻어지는 깨달음의 경지이지, 차 생활의 예절이나 법도, 그리고 차를 끓이는 행다법 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차 생활의 예법은 다례(茶禮)라고 하며, 과학적인 차원이라 할 수 있다. 다예(多藝)는 과학적인 차 생활의 예의 법절과 법도를 통하여 얻어지는 심미안적 예술세계, 그 예술을 포함한 정신적 만족감 등을 말한다. 이처럼 도는 절대경지요, 예는 철학적 경지요, 예는 과학적 차원으로써 엄격한 차별이 있다. 다의 정신은 다 생활을 하던 그 시대의 사상가들이나 종교인들에 의해서 거의 완성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다 생활이 보편화되면서, 우리의 차 정신은 그 시대를 지배하던 사상과 철학 또는 종교 정신에 의해서 완성된 것이다. 삼국시대에는 대부분 승려들과 일부의 귀족, 화랑도, 그리고 선사상을 가진 선인들과 도교의 사상가들에 의해 유지되었다. 그리고 고려시대에는 왕족과 귀족계급의 유학자들과 선승들 사이에 유행했으며, 일부의 도가(道家)의 사상을 가진 은거인 들이 차 생활을 하였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유학자가 득세를 하여, 관인계급에서 다례를 행했으며 은거인 이나 산중으로 밀려난 승려들에 의해 차 생활이 유지되었다.
참고 자료
김명배, 다도학, 학문사, 1993
김운학, 한국의 차문화, 이른아침, 2005
석용운, 한국다예, 초의, 1993
윤경혁, 차문화고전, 홍익재, 1999
이광주, 동과 서의 차이야기, 한길사, 2002
이기영, 다도
장미향, 아홉번 덖고 아홉 번 말리고 인사동문화,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