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놀이][줄다리기][강강술래][강강수월래][관등놀이][연날리기][비석치기]민속놀이의 역사적 배경, 민속놀이의 종류, 줄다리기, 강강술래(강강수월래), 관등놀이, 연날리기, 비석치기 심층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8.12.17
- 최종 저작일
- 2008.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민속놀이의 역사적 배경, 민속놀이의 종류, 줄다리기, 강강술래(강강수월래), 관등놀이, 연날리기, 비석치기 심층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민속놀이의 역사적 배경
Ⅲ. 민속놀이의 종류
Ⅳ. 줄다리기
Ⅴ. 강강술래(강강수월래)
Ⅵ. 관등놀이
Ⅶ. 연날리기
Ⅷ. 비석치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느 민족이나 그 민족 나름대로의 문화(민속문화, 기층문화, 전통문화)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문화가 있음으로써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역사를 창조하고 발전시켜 나간다. 민속문화는 특히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그리고 미래에도 민족의 일상생활문화에서 밑바탕이 되고 강한 활력이 되고 항상 새로운 의의를 발휘할 수 있는 문화이다. 민속은 우리 민족의 오랜 역사와 더불어 형성되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민족생활과 함께 살아 숨쉬어 온 문화이다. 전통문화 가운데 기층문화로서 우리 선조들이 살아온 삶의 양식이 바로 민속문화이다. 민속을 연구하는 한국민속학은 역사성과 사회성을 공유하는 한민족의 일상생활과학이며, 민족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해석에 관여하는 객관적 비교과학이며, 나아가서 세계문화 속에 한문화의 위치를 정립하려는 인류과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민속문화가 시대의 변천과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급격히 변화하고 소멸되어 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며, 과거의 민속문화를 오늘에 그대로 재현하자는 주장도 타당성이 없다. 그러나 날로 사라져가는 민속문화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고 재조명하는 일은 현대를 살아나가는 우리들의 책임인 동시에 사명이기도 하다. 우리는 그러한 민속문화를 통하여 조상들의 삶의 지혜를 이해하고 거기에 담겨진 선인들의 슬기와 생활철학을 배워야한다. 전통적인 것은 비과학적이요, 불합리하고, 허무맹랑한 것, 하루 속히 떨쳐버려야 할 것으로 단정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과거의 것이라 하여 모두가 비과학적이고 불합리한 것은 절대 아니다. 특히 민속문화는 우리 조상들이 오랜 생활경험을 통하여 터득한 삶의 지혜요, 기술이다. ꡒ옛 말 그른데 없다ꡓ라는 속담을 통해서도 느낄 수 있듯이, 옛 것 하나하나에는 반드시 어떤 의미와 오묘한 진리가 함축되어 있다. 많은 민속문화를 좀 더 널리 모으면 보다 면밀히 파헤쳐 보면, 거기에는 우리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삶의 지혜와 방법이 숨겨져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삶의 지혜와 방법을 밝혀내고 그것을 날로 메말라 가
참고 자료
△ 김종만(2001), 아이들 민속놀이 백 가지, 서울 : (주)우리교육
△ 김선풍 외 10명(1996), 민속놀이와 민중의식, 집문당
△ 김명자, 세시풍속의 순환체계
△ 김태곤 외(1997), 한국문화의 원본사고, 서울 : 민속원
△ 이강로(2000),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최상숙(1988), 한국민속놀이의 연구, 성문사
△ 홍기원(1997), 조선의 민속놀이, 민속원